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출구전략 공조 '흔들' IMF 속도조절 요구

[아시아경제 강미현 기자] 호주가 예상을 깨고 기준 금리 인상을 결정한 가운데 국제통화기금(IMF)이 유럽중앙은행(ECB)에 금리 인상을 서두르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일부 시장 관계자들이 '릴레이' 금리인상이 나타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으면서 속도조절을 주문한 것. 국제 공조가 흔들리자 주요국 금융 수장들은 IMF에 가이드라인 마련을 요청했다.


7일 주요 외신에 따르면 IMF/세계은행 연차총회를 위해 터키 이스탄불에 모인 주요국 재무장관은 경기부양책과 양적완화 정책을 접고 질서정연하게 '출구'로 향하기 위한 지침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이들은 또 “경기회복의 초기 신호를 환영한다”면서도 “견고한 회복세가 보장될 때까지 경기부양을 지속할 것”이라는 기존 견해를 되풀이해 강조했다.

그러나 출구전략의 국제적 공조에 관한 IMF의 보고서는 내년 4월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는 회의 전까지는 나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IMF도 과잉 유동성을 거둬들이는 데 신중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경기회복 조짐이 나타나기 시작했지만 섣부른 금리 인상이 침체를 불러올 수 있기 때문에 순차적인 출구전략을 펴야 한다는 주장이다.

IMF의 요르그 데크레신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지난 5일 IMF-세계은행 연차총회가 열리고 있는 터키 이스탄불에서 다우존스 뉴스와이어와 인터뷰를 갖고 “물가 인상 압력이 높지 않기 때문에 ECB는 향후 12개월 동안 금리를 높일 필요가 없다”며 “내년까지 양적완화 정책을 지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근 IMF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유로존 내의 소비자 물가는 올해 0.3%, 내년 0.8%까지 오를 전망이다. 이는 ECB의 중기 목표인 2%를 크게 밑도는 것으로 유로존 내 인플레 리스크가 크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데크레신 이코노미스트는 아울러 유럽 각국 정부들이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실시했던 특별한 조치들을 순차적으로 거두어들이는 출구전략을 펼쳐야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출구전략의 국제적 공조는 각 국가들이 처한 입장이 다른 만큼 동시에 금리를 올리거나 재정적자를 줄이자는 말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독일을 비롯한 유로존의 경기전망과 관련해 “여전히 하향 리스크가 있다”며 “회복세가 견고하지 못하다”고 분석했다. IMF는 지난 주 경제전망에서 독일 경제 성장률이 올해와 내년 각각 -5.3%, +0.3%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데크레신 이코노미스트는 특히 실업률과 수요부진이 신용 디폴트를 부추길 수 있다고 우려했다.

강미현 기자 grob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