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아주 싸거나, 비싸거나, 특색있거나'..유통가 추석마케팅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초

민족 최대 명절인 추석(10월3일)을 앞두고 백화점ㆍ할인점을 축으로 한 오프라인과 홈쇼핑ㆍ오픈마켓을 중심으로 한 온라인 유통업체간 추석 마케팅이 불을 뿜고 있다.


이마트와 홈플러스, 롯데마트를 축으로 한 대형 할인점들은 이번 추석명절에는 선물세트를 저가 묶음제품과 프리미엄 제품으로 이원화해 승부를 건다는 전략이다.

이마트는 이에 따라 1만원 미만의 '초저가' 상품을 지난해보다 20∼30% 늘렸다.
이마트 관계자는 "경기회복 전망이 우세하지만 아직도 저가 선물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많다"며 "이들을 겨냥해 초저가상품을 확대했다"고 말했다.


이마트는 경기회복에 발맞춰 프리미엄 상품도 지난해보다 20∼30%가량 확대했다.

홈플러스는 3만원대 미만 저가상품 비중을 전체 선물세트의 50%까지 끌어올렸다.롯데마트도 공동구매 등을 통해 초저가 상품 비중을 대폭 늘렸다.


롯데, 현대, 신세계, 갤러리아를 축으로 한 백화점업계는 프리미엄 제품에 무게를 두고 있다.


롯데백화점은 이번 추석 선물세트로 프리미엄 고가상품 라인을 대폭 강화했다.먼저
지난해 180여개였던 프리미엄 상품을 210여개로 늘렸다.또 실속형 상품의 총 물량도 지난해보다 6%가량 확대했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롯데마트, 롯데슈퍼와 공동구매를 통해 단가를 많이 낮췄다"며 "특히 가공식품의 경우 가격을 온라인상의 '닷컴'수준까지 끌어내린 게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현대백화점은 실용보다는 프리미엄 제품을 대폭 강화했다.현대백화점의 최고 프리미엄 상품인 '현대명품' 비중을 지난해보다 30%가량 늘린게 대표적인 예다.


신세계백화점도 전국의 명인명가를 수소문해 선물세트를 만드는 등 남다른 공을 들였다.제대로 된 상품을 이번 추석선물로 제공하겠다는 전략에 따른 것이다.


신세계백화점 관계자는 "김치, 된장, 수산식품 등 전국의 명인명가를 찾아가 상품화 작업을 벌였다"며 "벌써부터 이들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평가가 좋다"고 말했다.
신세계는 이와는 별도로 초저가 상품인 '굿초이스'선물 세트도 대거 내놨다.


그런가하면 '번들'(묶음)과 저가 상품을 통해 틈새 시장을 공략해 온 오픈마켓들의 추석 마케팅도 눈길을 끈다.


이들은 기존에 취급하지 않던 제품들을 잇따라 내놓으며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GS홈쇼핑, CJ오쇼핑, 롯데홈쇼핑 등 홈쇼핑 업체들은 추석 한가위 특집으로 뮤지컬 티켓을 판매하고 있다.또 일부 홈쇼핑업체와 오픈마켓은 한가위 기념 호텔 숙박 특별 할인권도 내놨다.


옥션 서민석 팀장은 "추석 연휴를 휴식 및 재충전의 기회로 활용하려는 사람들이 늘면서 문화 관련 상품 등이 온라인에서 추석선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고 말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