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유럽 금융권, 정부 간섭 탈피 "안간힘"

지난해 금융위기의 정점에서 구제 금융을 수혈 받아 간신히 살아난 유럽 금융권이 경기 회복세를 타고 홀로서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정부의 자본을 안고 가다 보니 이래저래 행동에 제약이 많아져 독자적인 경영을 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일각에서는 회사 상황이 정상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하게 공적자금을 상환하려다 다시 위험에 빠지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일고 있다.

9일(현지시간) 다우존스는 금융위기 이후 정부 보증을 통한 채권 발행으로 자금을 확보하던 유럽 금융권이 글로벌 경제 회복과 함께 공적자금 상환에 열을 올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유럽 정부는 지난해 9월 리먼브라더스 파산으로 촉발된 금융 위기 속에서 총 3130억 유로에 달하는 유동성을 시장에 직접 공급한 동시에 2조9000억 유로 규모의 정부 보증을 실시해 금융권의 연쇄 파산을 막았다.

이날 독일 2위 은행인 코메르츠방크 최고경영자(CEO)인 마르틴 블레싱은 "투자자들에게 낮은 수익을 주는 정부 보증 회사채 발행을 더 이상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와 함께 "정부 보증 회사채 150억 유로 중 이미 사용한 50억 유로를 제외한 100억 유로의 채권을 상환 하겠다"고 말했다.


코메르츠방크는 독일 정부로부터 182억 유로의 현금을 지원 받았으며 현재 은행의 지분 25%가 정부 소유로 돼 있다.


네덜란드 보험사 아에곤은 오는 12월1일까지 정부로부터 받은 자금 중 3분의 1인 10억 유로를 갚겠다고 선언했다. 나머지는 적어도 2∼3년 내로 모두 갚겠다는 입장이다. 정부로부터 100억 유로를 빌린 네덜란드의 종합 금융그룹 ING도 우선 80억 유로를 근시일 내에 갚겠다는 뜻을 나타냈다.


아직 회사가 정상 궤도에 오르지 않은 상태에서 이처럼 서둘러 공적자금을 상환하려는 것은 정부의 간섭으로 인해 자율적인 경영이 어렵다는 인식 때문이다. 유럽 금융권은 특히 시장 점유율을 높이거나 신규 시장에 진입하는 데 정부의 규제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NCB스톡브로커스의 은행담당 애널리스트인 어펀 유누스는 "은행들이 정부와의 관계를 되도록이면 멀리 하는 것이 회사 경영과 주주 가치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아울러 "금융권이 공적자금 전액 상환을 통해 최근 국제적인 논쟁거리로 부각한 보너스 지급 문제에 대한 정부의 영향력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유럽 금융권에 한 발 앞서 JP모건체이스와 골드만삭스, 모건스탠리 등 미국의 대형 은행들은 구제금융 자금을 전액 상환한 바 있다.

김기훈 기자 core81@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