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경제가 최악의 침체를 벗어난 것으로 보이지만 고용과 소비 부진 등 남은 복병이 적지 않다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진단했다. 과잉 유동성을 제거하는 출구전략에 대해서는 내부적으로 커다란 혼선을 드러냈다.
9일(현지시간) Fed가 공개한 12개 연방은행의 7~8월 지역 경제동향 보고서 ‘베이지북’에 따르면 미국 경제는 대체적으로 안정을 찾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개 연준은행은 미국 경제의 침체 속도가 둔화되고 있다는 데 인식을 같이 했다.
하지만 본격적인 성장 회복을 기대하기에는 아직 이르다. 중고차 현금보상 프로그램에 힘입어 자동차 판매가 큰 폭으로 늘었지만 전반적인 소비가 부진하고, 고용 역시 악화 일로라는 지적이다. 뿐만 아니라 상업용 부동산시장의 부실이 경기 회복의 걸림돌이 될 것이라는 데 미 연준은 입을 모았다.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을 통해 내년 경기부양책의 약효가 소진될 것으로 보이며, 민간 부문이 회복을 이끌어야 한다고 언급한 내용을 감안할 때 고용과 소비 부진은 커다란 걱정거리다.
한편 금리인상 시기에 대해서는 목소리가 엇갈리는 모습이다. 이번 베이지북 경제동향 분석자료는 2주 뒤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금리 조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는 점에서 시장 관계자들이 혼선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시카고 연방은행의 찰스 에반스 총재는 이날 PBS와의 인터뷰에서 “연준은 실업률이 떨어지기 시작할 때, 경기회복에 속도가 붙기 시작할 때 금리를 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백악관 예상관리국(OMB)은 지난 달 올해 미국 실업률이 4분기 10%까지 오르고 내년 상반기까지 이를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금리 기조가 내년 상반기 이후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얘기.
반면 달라스 연방은행의 리차드 피셔 총재는 “경제가 회복되면 인플레이션을 피하기 위해 가능한 빠른 시간 내 양적완화 정책을 끝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달라스 상공회의소 연례모임에 참석한 피셔 총재는 “통화정책 시행 시기와 경제에 이 같은 조치들이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시간에는 격차가 있다”며 “조짐이 있을 때 가능한 빨리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확실한 경기회복세가 보일 때 금리를 인상해야 한다는 에반스 총재의 의견과 배치되는 것으로 연준의 경제상황 인식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강미현 기자 grob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