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역사의 아픔 간직한 '망주석' 고국품으로


[아시아경제신문 박소연 기자]일본군에 의해 일본으로 반출된 망주석이 100년 만에 다시 진해시로 돌아왔다.


24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이 망주석은 1910년대 초 일본군이 진해시에서 군 시설 정비 시 발굴한 것으로, 일본의 대표적인 정한론자(征韓論子)인 '사이고 다카모리'의 호(號)를 딴 가고시마 현의 '난슈 신사'에 보관되어 있었다.

망주석 표면에는 한자로 "조선석 명치 43년 8월 29일"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명치 43년은 1910년으로, 일본이 1910년 8월 29일 한국 국권을 강탈한 날을 기념하는데 이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문화재청은 반환 협의 과정에서 진해시청, 주일한국문화원, 일본에서 활동 중인 도공 심수관 선생 일본 가고시마현 의원 등 각계의 협력을 바탕으로 난슈 신사 대표로부터 망주석 기증 약속을 받아낼 수 있었다.

환수된 망주석은 진해시에서 보존 처리 등의 과정을 거쳐, 2012년 해군역사 박물관이 완공되면 박물관으로 이전되어 일반에게 전시될 예정이다.

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
<ⓒ아시아경제 & 스투닷컴(stoo.com)이 만드는 온오프라인 연예뉴스>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