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의료관광 본격허용 100일..시장엔 어떤 변화가?

#미국 환자알선업체 수십명이 정부 초청으로 한국을 찾았다. 대형 종합병원과 유명 병원들을 둘러보며 '원더풀'을 연발했다. 설문조사를 해보니 특히 첨단 의료시설 및 IT 기술력에 찬사를 보냈다. 수행하던 공무원이 사석에서 질문을 던졌다. "그래서 어느 병원으로 환자를 소개하고 싶은가요." 대답은 의외였다. 최신 시설을 자랑하는 대형병원이 아니라 지방의 모 국제병원이라고 입을 모았다. "화려한 의료진과 시설도 좋지만, 내 환자가 와서 불편없이 진료받고 쉬다 돌아갈 수 있는 그런 병원을 원한다."


◆관심은 뜨겁다. 실체는 모호하다.

한국 의료기관이 해외환자를 마음껏 유치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법 개정 후 100일 남짓 흘렀다. 외부에서는 시장을 놓고 곧 대박이라도 날 것처럼 호들갑이지만, 현장의 목소리는 다소 '시큰둥'하다.


이상준 아름다운나라피부과 원장은 "3달 동안 달라진 것이 무엇인지 모르겠다"며 "황금알은 어느날 갑자기 나오는 게 아닌데 관심만 증폭된 면이 없지 않다"고 말했다.

실제 시장의 거품은 과다할 정도다. 현재까지 1200여개에 달하는 병의원이 정부에 해외환자 등록증을 신청했다. 국내 에이전시도 70군데가 사업을 신청한 상태다.
하지만 이들 중 대다수는 '남들이 하니 나도 한다'는 식의 허수가 많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에이전시 역시 활발히 운영중인 곳은 손에 꼽는다. 이미 경영난 때문에 문을 닫은 곳도 생겨나는 처지다.


◆의료법 개정 석달…드러나는 준비부족


법개정 후 100일만에 성과를 논하기는 다소 이르다고 해도, 통역사 등 기본적인 인프라에서부터 의료기관의 마인드까지 아직은 갈 길이 멀다는 지적이 많다.


이영호 보건산업진흥원 외국인환자마케팅팀장은 "병원들은 모두 VIP만을 받겠다고 하면서 과연 그에 걸맞는 준비를 갖추고 있는지 스스로 돌아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어느 나라 환자가 온다해도 음식부터 사소한 생활편의까지 일사천리로 해결 가능한 병원은 찾기 어렵다. 모두들 "진료만 잘 하면 알아서 오는 것 아니냐"는 수동적 자세다. 심지어는 외국인 환자를 받겠다고 신청한 병원조차 기본적인 '간판'도 영어로 바꿔 달지 않은 병원이 수두룩하다는 게 이 팀장의 전언이다.


정진수 한국관광공사 의료관광마케팅과 팀장도 "병원들의 마케팅 마인드가 아쉽다. 아직도 갑의 입장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더 큰 문제는 역시 언어다. 영어, 중국어, 일어를 제외하곤 통역사(코디네이터)를 구하기가 쉽지 않다. 보건산업진흥원 주도로 코디네이터 양성이 시작됐지만, 여전히 한국에서 가장 '글로벌화' 돼 있다는 모 종합병원조차 제3국 코디네이터는 의료지식이 전혀 없는 '아르바이트'를 쓰고 있다.


병원 내에선 어떻게 의사소통이 된다해도 병원만 나서면 환경은 180도 달라진다. 처방전을 들고 약국을 찾아가면 어느 약국을 가서, 어떻게 복약지도를 받을 것인지 아무도 신경쓰지 않는다.


◆ 조금씩 변하는 시장 "희망은 있다"


더디지만 그래도 시장은 희망적이다. 우선 우리보다 의료수준이 낮고, 지리적으로 가까운 러시아와 중동 환자의 증가세가 눈에 띈다. 이영호 팀장은 "싱가포르로 환자를 소개하는 러시아 소개업체(에이전시) 20곳 중 10곳이 아예 한국 전담으로 사업방향을 틀었다"며 "싱가포르를 찾던 환자들이 한국으로 흡수될 것이란 신호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가 직접 나서 사업을 주도하고 있다는 점도 외국 에이전시의 호감을 사고 있다. 한국관광공사나 보건산업진흥원이 '팸투어'나 '해외설명회' 등을 주도하며 병원들을 지원사격하고 있다. 시장에 '플레이어'들이 많아지면서 각종 기발한 상품도 쏟아진다. 국내 모 은행은 일본 카드사와 제휴해 '카드명세서'에 한국 병원 광고를 싣고 카드 결재시 진료비를 할인해주는 서비스도 개발했다.


단순한 홍보 차원을 넘어 보다 체계적인 움직임도 있다. 보건산업진흥원은 미국 내 대기업과 협력해, 직원들을 한국병원에 보내주는 보험상품을 개발중이다. 기업 입장에선 큰 질병에 드는 의료비를 줄이고, 직원들은 보험이 적용되는 질병범위를 넓힐 수 있으므로 윈-윈 전략이다.


시장변화가 느린 '중증질환'보다는, 한국의료를 단기간 내 알릴 수 있는 웰빙분야 등이 선전하고 있는 것도 좋은 신호다. 종합병원들의 건강검진이나 수년 전부터 외국인 환자 진료에 노하우를 쌓아온 피부ㆍ성형외과 병의원 등이 그런 예다. 이상준 원장은 "암환자는 갑자기 2배로 늘기 힘들지만, 건강검진이나 가벼운 웰빙 분야는 가능하다"며 "더욱이 한류라는 인프라가 있는 만큼 이 분야에서 한국의료가 알려지는 작업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국의료의 글로벌화 계기될 것"


시행초기 겪었던 실수들을 발판삼아 규제완화 논의도 활발하다. 우선 외국 VIP를 VIP답게 진료할 수 있도록 '외국인 전용병원' 설립이 논의중이다. 또 '미묘한 병원 내 언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사와 간호사를 현지인으로 고용해 외국인 환자에 한해 진료를 허용하는 방안도 추진되고 있다.


이미 '메디컬비자'가 만들어지고 의료기관의 부대사업을 허용해 숙박시설 등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이 분야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런 일련의 움직임이 국내 환자 역차별로 이어지지 않을까 하는 일각의 우려에 대해 정부는 확고한 입장이다. 백형기 보건복지가족부 보건산업정책 사무관은 "해외환자 유치 사업은 국가 보험재정에 부담을 끼치지 않으면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획기적 사업"이라며 "이를 통해 국내 의료기관도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하도록 자극을 주고, 이는 거꾸로 국내 환자에게 혜택으로 돌아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범수 기자 answer@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