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기업 사이에서 대표가 2명 이상인 각자대표체제가 유행이다. 경영효율화를 위해 내세운 각자대표체제인 만큼 효과가 있다면 다행이지만 일부 코스닥기업 중에서는 효과는 고사하고 잦은 대표 교체로 되레 경영혼란을 야기하는 곳도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
11일 금융감독원 공시시스템에 따르면 2분기 들어 현재까지 대표이사 수를 늘려 각자대표체제를 취한다고 공시한 기업은 모두 12곳. 같은기간 유가증권 상장기업 단 한 곳만이 대표 수를 늘렸다고 공시한 것과 비교하면 확연히 비교되는 수준이다.
각자대표란 주식회사에서 여러 명의 대표이사를 선정해 각자로 하여금 회사를 대표하게 하는 제도를 말한다. 대다수는 최고경영자(CEO)와는 별도로 해당 분야의 전문가를 새로운 대표이사로 선임해 경영효율화를 꾀하거나 사업부문별 경쟁력을 강화한다. 일부는 기업 합병 과정에서 대표를 합치지 않고 각 분야의 전문성을 살려 각자 대표체제로 그대로 유지해 가는 경우도 있다.
중앙디자인은 사업부문 분리운영을 위해 변인근, 임명환, 최의종 등 3명의 각자대표체제를 선택했다. 변 대표는 총괄을 맡고 임 대표가 기술본부를, 최 대표가 디자인본부를 맡아 기존 팀 수준에 있던 조직을 본부의 개념으로 키워 전담 운영키로 했다.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해외사업을 강화하면서 각 분야별 전문 인력 및 운영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
종합식품회사 피디에이와 합병을 결정한 무역전문 회사 명화네트는 지난 3일을 기준으로 김유일, 한태우 각자대표이사 체제로 탈바꿈했다. 피디에이 관계자는 "피디에이가 합병후 명화네트를 통해 우회상장하는데 두 기업의 성격이 너무 달라 기존에 해오던대로 각 기업의 대표가 해당 사업부를 맡아 전문적 경영을 하는게 효율적이라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조그만 코스닥기업에 대표이사가 두 명이다 보니 일각에서는 굳이 두명의 대표를 둬야 할 필요성이 있냐는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대표가 2명 이상이면 의견충돌이 잦게 되고 둘 중 하나만 사임하더라도 또 한명의 대표를 새로 뽑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전(前) 대표의 '횡령ㆍ배임 혐의발생'으로 상장폐지 실질심사 대상 여부를 심사받고 있는 제네시스앤알디는 최근 1년 사이 대표이사가 세 번이나 바꼈다. 지난해 7월까지 전기호, 박형준 각자대표체제로 운영됐던 제네시스엔알디는 1년의 시간동안 잦은 대표의 사임으로 새 대표체제를 갖추기에 바빴다.
지난달 말 송치민 단독대표에서 장철진 대표를 신규선임해 각자대표체제로 변경했다. 이에 대해 회사 관계자는 "일단 두 대표가 사업 총괄을 하기로 했을 뿐 구체적으로 집중 담당하게 될 사업부문이 구분되진 않았다"고 말했다.
대다수가 각자대표체제로 가는 분위기에서 최근 동국제약은 분산된 사업을 한곳으로 집중하기 위해 기존 각자대표체제를 단독대표체제로 변경해 눈길을 끌었다. 동국제약은 경영의사 결정의 효율화를 위한 책임경영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3명으로 구성된 각자대표이사체제에서 벗어나 해외사업을 주력으로 담당했던 오홍주 단독 대표이사체제로 변경했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