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조달청, 내용연수책정물품 크게 확대

정부물품 효용가치 향상 위해 1500개 품목으로 늘려…한해 4920억원 예산절감

정부조달물품의 내용연수 적용품목이 1500여개로 는다.


조달청은 4일 정부물품 효용가치를 높이고 물자사용에 따른 예산을 아끼기 위해 내용연수 책정물품 수를 이처럼 늘린다고 밝혔다.

내용연수는 최소의 수리비로 물품기능을 계속 이어갈 수 있는 비소모품의 경제적 사용기간을 일컫는다.


조달청은 물품관리법(제16조의 2)에 따라 각 부처 공통물품을 대상으로 책정하고 필요할 경우 중앙관서별로 지정·운영토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기관에서 활용도가 높아 내용연수책정 물품이 기존 1044개 물품에서 1526개로 불어난다.


또 제품의 성능향상, 수명(Life-cycle) 변화 등에 따라 내용연수 책정물품(1044개) 수도 928개로 합쳐지거나 조정된다.


내용연수는 물품취득시기, 불용결정 및 처리, 감가상각 등을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는 주요한 제도다.


정부기관에선 물품성능이 떨어지거나 잦은 고장으로 사용이 어려운 물품을 내용연수가 될 때까지 보관하거나 내용연수가 정해지지 않은 물품은 적정사용기간 판단이 어려워 불용처리 때 많은 걸림돌이 있었다.


내용연수 개정으로 이런 문제점들이 없어져 한해 4920억원의 예산을 아낄 수 있을 것으로 점쳐진다.


특히 내용연수 연장사용으로 예산절감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물품은 △워크스테이션 및 데스크톱컴퓨터(개인용 컴퓨터) △무선송수신기 △공기조화기 △복사기 △노트북컴퓨터 △일반승용차 등이다.


내용연수 책정물품 규모는 6조683억원(161만점)으로 국가기관주요물품(6조7503억원/184만점 : 취득단가 50만원 이상)의 약 90%다.


김희문 조달청 전자조달국장은 “IT(정보통신)기술의 첨단화로 제품성능향상과 수명 등이 크게 달라졌다”면서 “내용연수에 대한 합리적 조정으로 물품사용기간이 늘어나 새로 사는 물품 수가 줄고 물품효용가치도 크게 좋아져 정부물자예산을 크게 아낄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