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국토가 새로워진다'.. 4+α 초광역권 개발 추진


초광역권 개발을 통해 아시안 하이웨이, 대륙철도망 등 유라시아 대륙을 연결하는 교통 물류망이 확보된다. 또 동서남해안 등 초광역개발권역내 간선 교통물류망 등도 들어설 계획이다.


정부는 이같은 기반시설을 토대로 동·서·남·북 각 특성에 맞는특화벨트를 구성, 종합 개발한다. 여기에 내륙특화벨트까지 구성해 초광역개발권, 광역경제권, 기초생활권이라는 '3차원 지역발전'을 환성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대통령 산하 지역발전위원회는 국토해양부, 행정안전부 등 관계부처와 초광역개발권 구상의 중간시안을 마련, 16일 위촉위원 전체회의에서 논의하고 구체적인 계획을 마련해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후 정부는 우리 국토의 새로운 대외개방형 미래성장축으로 육성할 동·서·남해안권과 남북접경지역에 대한 '초광역개발권 종합계획'을 올해 말까지 수립한다.

계획 수립을 위해 정부는 초광역개발권 구현을 위한 ‘5대 추진전략’을 강구한다.


먼저 동북아의 초국경적 협력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유라시아 대륙을 연결하는 도로, 철도, 공항, 항만 등 통합적인 교통·물류망을 확충한다. 환황해권, 환동해권, 환태평양권의 주요 도시간 경제교류협력도 활성화한다. 이를 위해 아시안하이웨이, 대륙철도망의 연결이 추진된다. 또 장기적 차원에서 해저터널, 열차페리 등 해운물류 네트워크의 경제적·기술적 타당성도 연구된다.


정부는 초광역개발권역내의 기능적 연계와 상생발전을 위해 동서남북 간선 교통물류망 등 '국토의 초광역 인프라 구상'도 중장기적인 차원에서 실현해 나간다. 이를 위해 동서남해안축과 동서축(서울-속초)을 포함하는 'ㅁ'자형 고속화철도망 구상 등의 타당성도 검토될 전망이다.


여기에 초광역권별 특화산업을 중심으로 초광역적 산업벨트도 육성되며 연안·해양자원, 자연경관 등을 기반으로 국제수준의 해양생태 관광벨트도 조성된다.


뿐만 아니라 문화, 관광, 생태 등 분야의 지역공동발전사업이 추진되며 남북접경지역을 중심으로 교류협력사업을 활성화해나가는 등 한반도 통일시대에 대비하는 국토기반도 마련된다.


정부는 이같은 추진전략을 토대로 각 지역의 특성과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특성화 벨트를 구축하기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한다.


남해안 선벨트는 동북아의 해양관광 및 물류·산업 등 경제허브로, 동해안 에너지·관광벨트(블루벨트)는 에너지와 해양관광 등 녹색성장의 전진기지로 육성한다.


또 서해안 신산업벨트(골드벨트)는 동북아 국제비즈니스의 거점과 첨단 신산업벨트로, 남북교류접경벨트(평화에코벨트)는 평화·생태벨트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4개의 개방형 벨트 외에도 지자체들이 자율적으로 협력해 설정하는 내륙특화벨트도 마련된다.


내륙특화벨트는 첨단산업벨트형, 하천유역형, 산악자연형(백두대간 등), 역사문화권형, 낙후지역 성장촉진형 등이 검토되고 있다.


정부는 올 8월 중 내륙특화벨트 설정기준 등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제시할 예정이며 이를 토대로 각 지자체들이 구상안이 종합되면 연내 지역발전위원회 심의를 거쳐 초광역 내륙특화벨트 기본구상을 확정할 예정이다.

황준호 기자 rephwang@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