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억대 결혼자금?? 20대 싱글 탈출하려면

#이른바 된장녀 소리를 듣는 최모 씨(28세). 이씨는 주변에서 "옷 잘 입는다"는 소리를 듣는 명품족이었다. 지난 달 회사를 그만두기 전까지 해외 브랜드의 패션 용품 구입 등에 매달 100만원가량 썼고 그외 외식비 등까지 합치면 월급보다 카드 사용 대금이 더 많은 달도 꽤 됐다.
그는 최근 회사를 그만두면서 후회막심했다. 오는 9월로 결혼 날짜를 잡고 보니 결혼자금이 턱없이 모자라기 때문. 꼬박 5년가량 회사생활을 했지만 통장에 남은 돈은 1000만원이 전부였다.


#또다른 김모씨(29세). 그는 직장생활을 6년여 가량했다.취직 이후 저축, 펀드 및 공모주 투자 등을 통해 꾸준히 돈을 불린 김씨는 이 돈을 모아 아파트를 산 뒤 집값이 오르면서 결혼자금도 충분히 마련했다.

싱글을 탈출을 앞두고 있는 두 미혼여성의 사례가 대조적이다. 그만큼 20대를 슬기롭게 보냈는지 여부에 따라 결혼생활의 출발점이 달라진다.


좋은 직장에서 능력을 인정받기 위한 자기 계발에도 신경을 쓰고 재테크에도 착실해야 슬기로운 20대를 보낼수 있다.

대학자금까지 부모손을 빌렸다면 부모에게 손 벌리지 않고 혼수를 장만할 정도의 돈을 모으는 일도 중요하다. 혼수와 주택 마련 등을 합친 결혼비용이 평균 1억원대에 이른다는 사람들도 있다. 이런 호사스런 결혼자금은 못해도 조금이나마 내 스스로 할 수 있는 지혜가 필요한 것이다.


여성들은 남성에 비해 수입이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만큼 이른 재테크 계획의 필요성은 오히려 더 높은 편이다.


우선 미혼여성들은 비상예비비를 형성하는 것이다. 통상 생활비 3개월 분을 비상예비비로 준비하고, 이는 수시로 입출금이 가능하고 은행의 보통예금보다 금리가 높은 CMA나 MMF가 좋다.


또 청약저축, 청약부금, 청약예금 등 청약관련 상품에 가입하는 것도 필수다. 모두 2년 뒤에야 1순위가 되어서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보험은 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꼭 필요한 금융상품이다. 보험료는 해마다 인상되니만큼 가능하면 빨리 가입하고 생명보험사의 건강보험이나 종신보험과 손해보험사의 실손보상 상품(입원의료비와 통원의료비가 있는)을 각각 가입하는 게 합리적이다


투자 '종자돈'을 만들기 위한 저축의 중요성은 여전히 크다. 적립식 투자를 먼저 시작해 오래 굴리는 사람은 똑같은 금융상품에 10년 뒤늦게 투자했을 때보다 수억원을 더 탈 수도 있다. 단 금리 하락으로 저축의 기대수익률이 낮아지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

이초희 기자 cho77lov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