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中 전력소비 감소 심화...원인 놓고 설왕설래

중국의 전력소비 감소가 지속되면서 경기회복 지연을 알리는 장기 신호인지 혹은 산업 구조조정 여파에 따른 단기 신호인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17일 중국증권보는 중국 전기위원회 자료를 인용해 지난 4월 전력소비가 전년동월대비 3.63% 감소, 3월 2.01% 줄어든 것에 비해 더 많은 감소폭을 보였다고 보도했다.

4월 소비량은 일 2756억7000만kw로 1~4월 총 소비량은 1조600만kw에 달한다. 전년동기대비 4.03% 감소세다.

통상 전력소비 감소는 생산 감소에 따른 결과이며 경기회복을 늦추는 요인으로 꼽힌다.

이에 대해 일부 전문가들은 전력생산 및 소비는 경기회복 과정에서 증감을 거듭한다며 4월에 나타난 감소세는 경기회복기에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언급했다.

4월까지 농업과 서비스업 분야는 각각 4.69%, 9.04% 전력소비가 늘어났다. 반면 공업부문의 전력소비는 8.29% 감소했다.

지난 13일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4월 전력생산은 3.5% 감소한 반면 산업생산은 7.3% 증가했다.

공업부문의 전력소비가 총소비의 70%를 차지하는 것을 감안해볼 때 일부 전문가들은 산업생산 증가와 전력소비 감소가 동반될 수 없다며 의아해하고 있다.

국무원 발전연구센터의 장리췬(張立群) 연구원은 신화통신과 가진 인터뷰에서 공업부문의 전력소비가 줄어든 이유로 산업 구조조정이 여전히 진행 중인 점을 들었다.

특히 공업 부문에서 전력소비의 80%를 차지하는 중공업의 구조조정에 따른 생산감축이 전력소비가 줄어든 가장 큰 요인이라는 분석이다.

전기위원회에 따르면 중공업의 전력소비는 지난 4개월간 8.62% 감소했다. 이에 반해 경공업의 전력소비는 6.76% 감소에 그쳤다.

전문가들은 전해알루미늄산업 및 철강산업의 생산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5월 전력소비 감소는 둔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김동환 베이징특파원 donkim@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