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지난주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 등 중앙아 2개국을 국빈 방문, 자원ㆍ에너지 외교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지만 국내 상황은 녹록지 않은 것. 순방성과는 귀국하자마자 수명이 다했다고 할 정도다.
국제 외교무대에서는 펄펄 나는 MB지만 한국에만 돌아오면 여전히 기를 펴지 못하는 이상한 징크스가 계속되고 있는 것. 지난달초 런던 G20 금융정상회의 과정에서도 정상 합의문 도출을 주도하며 대한민국의 국제적 위상을 드높였지만 정작 귀국 이후에는 북한의 장거리 로켓발사라는 최대 악재에 직면해야 했다.
이 대통령의 3대 고민은 ▲ 여의도정치의 혼란 ▲ 불투명한 경제전망 ▲ 예측불허의 북한변수 등이다.
우선 한나라당의 고질적인 계파갈등은 적잖은 골칫거리다. 특히 재보선 민의를 수용, 체제정비에 나서야 할 한나라당의 혼선은 여전하다. 이 대통령이 사실상 묵인했던 친박 원내대표 카드가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반대로 무산된 것도 아쉬웠다.
지난 2007년 한나라당 대선후보 경선 이후 2년이 다 되어가지만 '친이 vs 친박'의 계파갈등은 여전히 이 대통령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 '한지붕 두가족' 체제의 계파갈등은 이 대통령의 정치력에도 생채기를 내고 있다.
경제상황도 쉽지 않다. 한국경제가 바닥을 쳤다는 전망이 고개를 들고 있지만 이 대통령은 신중론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18일 라디오연설에서 "수출이 환율 효과를 잃게 되고 경기회복 상황에서 다시 오를 에너지 가격을 생각하면 잠이 안 올 정도로 걱정스럽다"고 밝힐 정도였다. 섣부른 경기회복 낙관론을 경계한 것.
이 대통령은 이어 "IMF 극복과정에서 반드시 해야 할 구조조정과 각종 개혁을 제대로 마무리하지 못했다"며 구조조정, 공공부문 효율성 제고, 노동시장 유연성 확보 등 개혁 추진을 강조했다.
남북관계는 최악이다. 취임 이후 지속된 북한과의 갈등은 최고조로 증폭되고 있다. 지난달 북한의 장거리 로켓발사 강행과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 전면참여 논란에 이어 개성공단 문제까지 불거졌다.
북한이 최근 개성공단 기존계약 무효화를 일방적으로 통보해 최악의 경우 공단폐쇄까지 우려되는 상황이다. 대북정책에서도 이른바 창조적 실용주의를 내세워왔지만 여전히 탈출구를 찾지 못하고 있는 것.
과연 이 대통령이 사면초가의 위기상황을 벗어나기 위해 어떤 승부수를 꺼내들까?
정치권 일각에서는 청와대의 공식 부인에도 불구하고 이 대통령이 6, 7월 여권 진용개편 등 당정청 전면쇄신을 단행해 집권 중후반기 안정적 국정운영을 위한 기반 조성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김성곤 기자 skzero@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