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다시 나오는 '자전거보험'

사고위험ㆍ손해율 높아 사업성 '저조'
판매 소극적··· 고유가 시대 단발성 우려


손보사들이 상품 개발에 나서는 등 이르면 5월 중에 개인용 자전거 보험이 판매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이 같은 보험이 실효성은 미미할 것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17일 금융감독원 및 손해보험업계 등에 따르면 정부의 저탄소 '녹색 성장' 정책에 맞춰 현재 삼성·현대·동부·LIG·메리츠화재 등 대형손보사들이 개인용 자전거 보험을 준비 중이다.

이 보험은 자전거를 타다가 본인이 다치거나 사망하는 경우, 또는 다른 사람을 다치게 할 경우 보험금을 지급한다. 또 보험사의 상품 설계 방법에 따라선 벌금이나 변호사 비용도 보험금으로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보험개발원은 자전거보험 참조순보험료율을 산출해 금융감독원 신고수리를 거쳐 올 초 각 손보사에 제공했으며 주계약으로 상해사망/후유장해·입원일당·배상책임을, 특약으로는 통원일당·자전거손해·도난 등을 보장한다.

다만, 자전거 파손이나 도난에 대한 보상은 자전거 등록제 등이 시행되고 난 뒤 점진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자전거 관련 제도가 아직 미흡하고, 도난을 위장한 보험금 수령 등의 부작용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손보업계 일각에서는 대형 손보사들이 개인용 자전거보험을 개발하더라도 상품판매에는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고 전망했다.

자전거가 도로교통법상 차마(車馬)에 해당돼 자전거전용도로가 없는 경우 차도로 통행해야 해 사고위험이 높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손해율이 올라가게 되면 보험료가 인상될 가능성이 큰데 이 경우 가입자 입장에서도 개인용 자전거보험은 매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실제로 이 같은 이유 등으로 현재 LIG손해보험만이 창원시, 이천시와 제휴해 단체보험 형태의 자전거보험을 팔고 있을 뿐이다.

이에 대해 지역 A손해보험사 지원팀장은 "지난달 말 대전시에서 자전거 보험을 도입하기 위해 6억여원의 예산을 확보해 공고를 냈지만 LIG손해보험을 제외한 다른 보험사들은 입찰에 참여하지 않아 결국 유찰됐다"며 "보험사 입장에서 득보다 실이 많고, 고객입장에서는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상품이라 실효성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 말했다.

여기에 보험업계는 이번 개인용 자전거보험이 고유가 시대의 세태에 맞춘 단발성 전시행정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결국 2001년 당시 등장했던 장애인전용보험과 같이 상품은 있지만 판매는 거의 되지 않는 상품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

S손해보험사 모 지점장은 "개인용 자전거보험은 자전거로 인한 사고만을 보장하는데 이는 ‘일상생활 배상책임보험’으로도 충분한 보상이 가능하다"며 "결국 현재 생보에서 판매중인 장애인전용보험과 같이 단발성으로 끝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한편, 개인용 자전거 보험은 1997년 삼성화재가 도입했다가 사업성이 떨어지자 2001년 보험상품 판매를 중단한 바 있다.

광남일보 배동민 기자 guggy@gwangnam.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