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우로지스틱스, 마다가스카르 농지개발 사업 표류

대우로지스틱스의 마다가스카르 대규모 농지개발 사업이 무산될 위기에 처했다.

18일(현지시간) 군부의 지지를 통해 신임 대통령에 선임된 마다가스카르의 안드리 라조에리나 전 안타나나리보 시장은 대우로지스틱스 농지 임대차 협상에 대해 무효화를 선언했다.

로이터 통신은 라조에리나 측이 "헌법에 마다가스카르 국토를 팔거나 임대하지 못하도록 규정돼 있는 만큼 대우와의 합의는 취소됐다"고 선언했다고 보도했다.

대우로지스틱스는 지난해 11월 마다가스카르 정부와 130만헥타르 농지 무상 경작에 합의하고 이를 통해 연간 400만t의 옥수수, 50만t가량의 팜오일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었다. 해당 토지의 독점 사용 기간은 향후 99년동안이었다.

그러나 이와 관련 파이낸셜타임즈(FT)에서는 "대우로지스틱스가 이 영토에서 야자유 등을 재배하는데 아무 비용도 지불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일종의 '신식민주의사업'이 아니냐는 부정적인 보도를 냈다.

이에 대해 대우로지스틱스측은 "토지 인수를 위해 20년간 총 60억달러를 투자하고 농업기술 전수, 지역경제 발전 등 마다가스카르 경제 발전을 위해 노력 하고 있어 FT의 보도는 잘못된 부분이 있다" 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현재 쿠테타를 통해 정권을 잡은 라조에리나 측은 대우로지스틱스의 농지개발 사업에 대해 전 정권의 대표적 부패 사례로 비난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대우로지스틱스의 향후 마다가스카르에서의 사업은 앞으로 상당한 난관에 봉착하게 될 전망이다.

현재 회사측은 "'취소됐다'는 한마디로 인해 이번 프로젝트가 법적으로 무효가 될수는 없으며 투자에 있어서 현지 법 전문가를 선임해 진행해왔던만큼 잘못될 것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사측은 이날 오전 내내 대책 회의에 돌입하는 등 관련 사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대화 시도하는 등 대응방안 마련에 고심 중이다.

업계에서는 비록 쿠테타로 정권을 잡았다 하나 현재 실권자가 무효를 선언한 상태이니만큼 앞으로 이 프로젝트를 유지하는데 상당한 추가 비용이 발생하거나 사업이 아예 무효화될 가능성도 없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대우로지스틱스는 대우에서 나온 물류쪽 회사로 주로 3자물류, 해운, 자원개발 등을 하는 회사입니다. 최근에는 주로 인도네시아 등지의 자원개발사업에 투자해왔다.

안혜신 기자 ahnhye84@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