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미국서 1초에 5벌 팔리는 한세실업 '디자인의 힘'

2010년 매출액 1조원 목표 조기 달성 가능성

당신이 한국의 희망, 글로벌 프런티어를 찾아서

세계적인 패션의류기업 한세실업(회장 김동녕ㆍ대표 이용백, www.hansae.com)의 광고 카피가 올해 '미국시장에서 1초마다 5벌의 옷을 판다'로 바뀌었다. 지난 2002년과 2008년의 광고문구가 '미국인 9명 중 1명은 한세실업의 옷을 입습니다', '3명 중 1명이 한세실업의 옷을 입는다'였다는 점에서 한세실업의 괄목할만한 성장세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한세실업은 지난 2007년 5억3000만달러의 판매실적을 올렸고, 2008년에는 6억달러의 매출을 기록했다. 현재의 성장세에 비춰볼 때 오는 2011년 매출액 1조원 달성 목표도 앞당겨 실현될 것으로 보인다.

한세실업이 최근 5년 동안 매년 20% 이상의 고성장세를 기록한 비결은 디자인이다. 미국, 영국, 이탈리아 등 내노라하는 패션연구소에서 근무했던 베테랑급 디자이저들이 본사에만 30여명이 있다. 지난해 3월에는 뉴욕의 탑 디자이너들을 영입해 뉴욕 맨하탄 브로드웨이에 사무소를 신설했다.

한세실업은 1982년 11월 설립 이후 베트남, 니카라과, 과테말라, 중국,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등 6개국에 8개 해외현지법인을 두고 있다. 전 세계에 포진해 있는 생산기지는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원가 경쟁력을 유지하는 원동력이다. 한세실업은 생산 거점을 중남미와 아시아에 골고루 분포해 생산성을 높였다.

스타일당 적게는 몇 백장에서 많게는 100만장에 이르는 물량을 소화해낼 수 있는 능동적인 생산망을 갖춘 것이다. 손재주가 좋은 인력을 많이 보유한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공장은 바이어의 요구 조건이 까다로운 나이키, 갭, 아메리칸이글, 리미티드 등의 의류를 만든다. 미국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일정량을 무관세로 수출할 수 있는 중남미의 공장은 월마트, 타겟 등 대형 마트나 백화점의 제품을 주로 생산한다.
 
세계 각국에서 생산한 옷은 모두 월마트(Walmart)나 타겟(Target) 등 세계적인 대형 할인 매장과 나이키(Nike), 갭(GAP), 아메리칸이글(American Eagle), 애버크롬비앤피치(Abercrombie & Fitch)등 미국 유명 업체들에게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방식으로 수출한다.

단순 생산만 하는 OEM이 아니라 원단 소재에서부터 트랜드 분석,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자체 기획하고 개발해 고객사가 선택하도록 하는 제안형 ODM 시스템은 바이어가 주는 디자인과 샘플을 보고 봉제만 하는 중국이나 동남아 업체와의 격차를 크게 벌려놓았다.

특히 한세실업이 앞으로 사업 다각화 차원에서 의류사업을 한층 강화하고 투자를 늘려 글로벌 의류시장에서의 입지를 확고히 한다는 계획이다.
 
한세실업의 김동녕 회장(64)은 1년중 120일은 해외에 나가있다. 사람에 대한 투자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김 회장은 현지인들에게 친숙한 경영 전략을 펼쳐야 한다고 강조한다. 1년에 한 공장을 스무 차례 넘게 방문한 적도 있다. 뿐만 아니라 매년 한국으로 유학 온 외국인 장학생을 지원하고 있고, 베트남 챔피언십 바둑대회 개최 등 지역 사회 활동을 지속적으로 후원하고 있다.


박충훈 기자 parkjovi@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