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기업지배구조센터, 상장기업 CSR 업무 돕는다


";$size="400,262,0";$no="2009030910194613040_1.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기업지배구조센터(CGS)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관련 교육과 조사·연구에 적극적으로 뛰어든다. 이를 위해 기관명도 한국기업지배구조센터로 바꾼다.

9일 기업지배구조센터는 정부의 저탄소 녹생성장 정책 기조로 환경 등을 고려한 자본시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됨에 따라 국내 상장기업의 준비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해외기관투자자들이 장기투자를 결정할 때 사회책임투자(SRI·Socially Responsible Investment)를 중시하는 세계적 경향에 국내 기업들 또한 발맞춰 가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센터 관계자는 "국내의 경우 대기업 중심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며 "하지만 구체적 활동은 저조하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기업지배구조센터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평가 기준 및 활용 계획을 수립하고 교육과 홍보에 앞장선다는 계획이다.

또 환경·사회·지배구조 별로 우수기업을 선정해 표창할 예정이다.

*사회책임투자(SRI·Socially Responsible Investment)= 환경, 사회 등을 고려하는 선진형 투자행위. 도덕적이며 환경친화적인 기업에는 투자하지만 비도덕적이고 환경파괴적인 기업에는 투자하지 않음으로써 자본시장의 긍정적 변화를 끌어내는 효과를 가져온다. 선진 시장에는 SRI펀드가 보편화돼 있으나 국내 SRI펀드는 투자판단기준이 일반펀드와 유사해 상품 개발이 저조하다.

이솔 기자 pinetree19@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