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작전' 김무열, 뮤지컬-드라마-영화 전천후 배우로(인터뷰)


[아시아경제신문 고재완 기자]이제 뮤지컬 배우가 아니다. 그저 배우일 뿐이다. 드라마 '일지매'에 이어 영화 '작전'(감독 이호재ㆍ제작 영화사 비단길)을 통해 스크린으로까지 그 범위를 확장한 배우 김무열 말이다. 김무열은 아시아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어떤 장르의 배우이기보다는 연기를 하는 배우이고 싶다"고 자신의 생각을 밝혔다.

-드라마 '일지매'에 이어 영화 '작전'까지 이제 장르 구분없이 종횡무진하는 것 같다.
▲그렇게 봐주시니 감사하다. 나는 그냥 배우이고 싶다. 그래서 드라마도 했고 이번 영화도 출연한 것이다. 뮤지컬 쪽에서는 안좋게 보시는 분들도 있다. '뮤지컬 배우면 뮤지컬만 해야지 외도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난 모든 장르를 아우르는 배우이고 싶다. '김무열은 뮤지컬만 하는 배우다'라고 못박히고 싶지 않다.

-영화는 처음인데.
▲걱정을 많이 한 편은 아닌데 우리 영화가 컷수가 많은 편이라 그것 때문에 고생을 좀 했다. 똑같은 연기를 여러 각도에서 찍었다. 그래서 정말 디테일하게 머리 속에 연기에 대한 생각이 자리잡지 않으면 어색함이 바로 드러났다.

-주위 반응은 어떤가.
▲사실 내 연기를 누구와 본다는 것이 참 어색하다. 언론배급 시사회때 나도 처음 영화를 봤다. 그런데 너무 창피했다. 사실 '일지매'를 할 때도 가족들이 다 같이 보자고 해도 방에서 문잠그고 혼자 봤다. 가족이라도 같이 보면 창피하다.

-외모는 악해보이지 않는데 악역을 자꾸 맡는 것 같다.
▲나도 좀 의아하다.(웃음) 뮤지컬 '쓰릴미'를 할 때부터 그렇게 된 것 같다. 이번 영화에서는 악역이라도 인간미가 전혀 없는 악역이라 '일지매'때 보다 더 힘들었다. 일방적으로 '내가 건방져 보여야겠다'라고 판단한 것은 아니고 역할을 이해하려고 힘썼다.

-주식 작전의 대가 조민형 역을 위해 따로 준비한 것이 있나
▲아는 분의 도움으로 주식브로커랑 인터뷰를 했다. 그때 '이런 사람들이 있구나'하는 것을 처음 느꼈다.

-박희순과 처음 호흡을 맞췄는데.
▲보고 있는 것만으로도 도움을 주시는 분이다. 예를 들어 제일 기본적인 눈을 깜빡거리는 것까지도 신경을 많이 쓰신다. 눈을 자주 깜빡이면 보는 이들이 연기에 대한 몰입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런 것까지 신경쓰시는데 깜짝 놀랐다. 또 현장 분위기에도 신경을 많이 쓰신다. 배우가 연기 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인간적인 것도 챙겨야 한다는 것이 박희순 선배님의 철학이시다.

극단에서 12년동안 연극을 하신 분이다. 박희순 선배님이 계시던 극단은 선후배 위계질서가 강하기로 유명하다. 게다가 서울예대 출신이시다. 그래서 뵙기 전까지는 '어떻게 해야하나' 걱정을 많이 했다. 그런데 첫 대본 리딩에서 인사를 드리니 밝게 웃으면서 손을 흔들어주셨다. 그때 좋은 분이라는 것을 느꼈다.

-박희순, 박용하는 낯가림이 심한 배우인 것 같다.
▲사실 나도 낯을 많이 가리는 편이다. 우리 3명이 처음 만난 날은 어땠겠나. 처음 촬영장에서 서로 앉아 있는데 대화가 5분을 넘기지 못했다. 조금 이야기를 하다보면 적막이 찾아왔다. 지금은 너무 많이 친해져 그때 이야기를 하며 함께 웃는다.

-배우들끼리 친해져서 촬영장이 재미있었겠다.
▲우리끼리 애드리브를 만들고 웃으면서 촬영에 들어갈라치면 이호재 감독님이 박희순 선배님에게 "선배님 그거 안하실거죠?"라고 묻곤 했다.(웃음)

-시사회때 반응은.
▲영화를 보시고는 많은 분들이 시나리오보다 재밌다는 말을 많이 해주셨다. 현장에서 즉흥적으로 배우들이 연기하면서 재미있게 나온것 같고 편집이 스피디하게 진행됐다. 디테일도 잘 산 것 같다.

-어느정도 흥행을 예상하고 있나.
▲솔직히 내 마음은 500만정도는 들었으면 하고 바란다. 하지만 동시 개봉하는 영화가 많아 '마음을 비우자'고 마음 먹었다. 개인적인 바람은 '작전'이 좋은 영화로 기억됐으면 하는 것이다. 흥행도 물론 중요하지만 나의 첫 영화가 좋은 영화였으면 좋겠다.

-또 준비하고 있는 작품이 있나
▲'스프링 어웨이크닝'이라고 지난 해 토니상 8개 석권한 뮤지컬에 남자 주인공으로 캐스팅됐다. 국내 초연이라 부담이 많다. 특히 토니상에서도 대부분 다 상을 탔는데 남자 주인공만 못탔다고 하더라. 그래서 우리나라 공연에서는 남우주연상을 타보려고 한다.(웃음)

-뮤지컬 배우니 음반 내자는 제의도 들어올 것 같은데.
▲사실 난 뮤지컬 배우중 노래 못하기로 유명하다. 아직도 트레이닝을 받고 있다.(웃음)


고재완 기자 star@asiae.co.kr
사진 박성기 기자 musictok@
<ⓒ아시아경제 & 스투닷컴(stoo.com)이 만드는 온오프라인 연예뉴스>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