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은행 '대출금리 올리기' 꼼수

수익성 악화에 'CD금리+가산금리'체계 변경 추진

저금리 기조 지속으로 역마진 부담이 커지고 있는 은행들이 대출금리 체계 변경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금리체계가 바뀌면 대출자들의 이자비용이 높아진다는 점에서 반발이 거셀 것으로 예상된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 등 시중은행들이 기존 금리 체계 변경을 검토하고 있다. 최범수 신한지주 부사장은 전날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양도성예금증서(CD)금리가 전반적인 조달비용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며 "대출 기준금리와 관련해 다른 연동금리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시중은행들도 금리체계 변경을 포함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권은 시장성 예금금리인 CD에 통상 1.5~2.0% 수준의 가산금리를 붙여 대출금리를 적용한다. 하지만 지난해말부터 예금이나 은행채 발행 등 조달금리는 높아지는 반면 CD금리가 급격히 하락하면서 이에 연동되는 대출 금리가 동반해서 떨어져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다.

지난해 금융위기 이후 은행들은 유동성 확보를 위해 1년짜리 7%대 특판예금을 취급하고 8%대 후순위채와 하이브리드채를 앞다퉈 발행했다. 이렇게 조달한 자금을 대출로 운용해 이자 마진이 남으려면 대출금리가 이보다 더 높아야 하지만 현재 CD금리가 작년말대비 1%포인트 가량 급락하며,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4~5%대로 하락했다.

이에따라 은행들은 대출금리 기준이 되는 CD를 대체할 새로운 상품을 만들어야 한다는 논의를 본격화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은행들이 금리체계를 당장 바꾸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CD금리를 대체할 적절한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CD금리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코리보(국내은행간 거래때 적용되는 평균금리)나 통화안정증권(통안증권) 금리는 은행의 자금조달과는 거리가 있어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특히 은행들이 그동안 금리인상시기에 고금리 수익을 누리다가 지금에야 금리 체계 변경을 검토하는 것은 서민들에 부담을 전가하는 이기적 발상이라는 비난에 직면할 것이 뻔하다는 점도 관건이다.

이준재 한국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은행들이 대출금리 체계를 바꾸더라도 신규대출에만 적용할 수 밖에 없다"며 "신규대출의 비중이 연간 10~20%인 점을 감안하면 은행 수익성에도 큰 의미를 두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박수익 기자 sipark@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