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연료 시대, LCC도 대비해야'

미국·유럽은 친환경연료 SAF 도입 의무화
어기면 벌금, 지키면 인센티브
LCC들은 저탄소항공기 도입에 그쳐
"유럽 노선 확대 전략에 SAF 대응도 필요"

유럽 등 중·장거리 노선을 늘리는 저비용항공사(LCC)들이 탄소절감을 위한 친환경 연료 도입을 준비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4일 내놓은 ‘지속가능항공유, 항공업의 게임 체인저로 부상’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분석했다. 성지영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대형항공사는 시범운행 등으로 대응하고 있지만, LCC의 경우 재무적 여력 부족으로 친환경 연료 준비가 미흡하다"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이 성사되면 중장거리 노선이 LCC에 추가로 할당될 예정인데다 지속가능항공유(SAF) 도입 확대는 세계적 추세인 만큼 LCC들도 보다 미리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SAF는 옥수수, 사탕수수 같은 작물과 폐식용유 등을 이용해 만든 친환경 항공유다. 바이오디젤과 유사하지만 생산 과정에서 이미 탄소 절감 과정을 거쳤다. 기존 제트유(화석연료 항공유)보다 탄소 배출량이 75% 이상 적다. 다만 제트유 대비 3배 이상 고가인데다 생산량이 전체 항공유의 0.1%에 불과한 게 현실이다.

현재 국내 양대 항공사는 친환경 항공유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GS칼텍스와 지난해 9~11월 SAF 도입한 화물기를 시범운항 후 에너지효율 등을 분석하는 실증사업을 진행했다. 아시아나항공은 미국 정유사 쉘과 2026년부터 5년간 SAF를 공급받기로 했다.

반면 LCC들은 SAF 보단 저탄소항공기를 도입하는 방향으로 탄소감축에 대응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과 유럽 등 중·장거리 노선을 늘리고 있는 만큼 SAF 도입을 미리 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에어프레미아는 프랑크푸르트 노선을 운행 중이며, 티웨이항공도 올해 크로아티아 노선을 신규 취항할 예정이다.

이는 미국과 유럽의 탄소감축 정책 강화와 맞물려 있다. 유럽연합(EU) 27개국은 지난해 4월 SAF 사용을 의무화하는 규정을 만들었다. 항공유 중 SAF를 의무적으로 혼합하는 비율을 2025년 2%에서 2050년 70%까지 단계적으로 높이기로 한 것이다. 규정을 위반하면 t당 제트유 가격의 2배에 해당하는 벌금을 부과한다. 미국도 SAF 생산용량을 늘리는 계획을 발표하고 항공사들이 SAF를 사용하면 세액공제 혜택도 제공하기로 했다. 일본, 인도도 의무화 규정을 도입할 방침이다. 성 연구위원은 "단기적으로는 SAF 도입 의무화 국가가 한정되고 의무비율이 낮아 벌금 부담이 유리하겠지만, 장기적으로 대량 생산을 통해 가격을 낮추고 탄소배출권 등 인센티브 효과가 있어 기존 제트유 시장을 대체하는 산업으로 정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산업IT부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