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 인력난 숨통 트이나…정부, 1만4000여명 투입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올해 들어 1만4천000이 넘는 생산 인력이 국내 조선 산업에 새로 투입된 것으로 집계됐다. 조선업의 고질적인 인력난이 해소될지 주목된다.

산업통상자원부, 법무부, 고용노동부는 올해 들어 3분기까지 내국인 인력과 기능 인력(E-7) 및 저숙련 인력(E-9) 비자를 가진 외국인 인력을 포함해 총 1만4359명의 생산 인력을 국내 조선산업에 투입했다고 7일 밝혔다. 이는 올해 말까지 국내 조선업계에서 부족할 것으로 전망된 1만4000명을 넘어선 수치라고 정부는 설명했다. 산업부는 범부처 역량을 결집해 노력한 결과 올해 전망한 부족 인력을 신속하게 충원했다고 밝혔다.

국내 인력은 산업부가 구직자 대상 맞춤형 인력양성을 통해 3분기까지 총 2146명을 양성하여 이 중 2020명을 채용 연계했다.

기능인력(E-7)은 3분기까지 산업부와 조선협회가 총 7765명에 대해 고용추천을 완료했다. 이 중 6966명에 대해 법무부가 비자심사를 완료해 현장에 투입되고 있다.

비전문인력(E-9)은 3분기(신청 기준)까지 총 5373명에 대해 고용부가 고용허가서를 발급해 중소 조선업체에 충원되고 있다. 또한, 정부는 숙련도와 한국어 능력 등 요건을 갖춘 E-9 조선업 외국인력을 숙련기능인력(E-7-4) 비자로 전환해 외국 인력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정부는 조선업 생산 인력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 연수형 E-7 비자, 유학생 취업 확대 등 제도를 개선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국내 입국한 외국인 인력의 안정적인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외국인력 근무 현황, 기업별 사회통합프로그램 운영 현황 등을 점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업IT부 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