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PF 금융권 대출잔액 131조원 돌파…연체율도 2%

금융권의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잔액이 131조원을 돌파하고 연체율도 2%를 넘어서는 등 곳곳에 적신호가 켜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20일 금융감독원이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금융권의 부동산 PF 대출잔액은 131조6000억원으로 지난해 12월 말의 130조3000억원에서 3개월 만에 1조3000억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말까지만 해도 대출잔액은 92조5000억원으로 100조원을 넘지 않았지만 매년 급증하고 있다.

아울러 부동산 시장 침체로 수익성 및 자금 회수에 문제가 생긴 부동산 PF 사업장이 늘면서 연체율도 올라가고 있다. 금융권의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올해 3월 말 기준 2.01%로 지난해 12월 말의 1.19%보다 0.82%포인트 올랐다. 2021년 말까지만 해도 연체율은 0.37%에 불과했지만 올해 3월 말에는 2%를 넘겼다.

지난해 12월 말과 비교해 올해 3월 말 부동산 PF 대출 잔액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은행으로 2조2000억원이었고 증권도 8000억원 증가했다. 보험과 저축은행은 각각 4000억원, 여신전문금융사는 7000억원이 감소했다.

3월 말 기준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증권사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증권사의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15.88%로 2021년 말 3.71%에 비해 10%포인트 넘게 급등했다. 지난해 12월 말 10.38%와 비교해도 5.5%포인트 뛰었다.

3월 말 저축은행과 여신전문금융사의 부동산 PF 연체율은 각각 4.07, 4.20%로 지난해 12월 말에 비해 각각 2.02%포인트와 1.99%포인트 증가했다.

다만 3월 말 은행의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이 0%였고 보험사와 상호금융의 연체율도 각각 0.66%와 0.10%로 양호했다.

황선오 금융감독원 금융투자 부문 부원장보가 20일 열린 '부동산 익스포저 리스크 관리 강화를 위한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미지 출처=연합뉴스]

이처럼 부동산 PF 부실 문제가 심각해지자 금융당국은 총력 대응에 나섰다. 금감원은 이날 증권사 최고리스크관리책임자(CRO)와 기업금융(IB) 담당 임원들을 소집해 부동산 익스포저의 리스크 관리 강화를 당부했다.

아울러 금융당국은 지난 4월 말 재가동한 PF 대주단 협약을 통해 부실 사업장에 대한 '옥석 가리기'를 진행 중이다. 오는 9월 '부동산 PF 사업장 정상화 지원 펀드'도 본격 가동된다.

증권자본시장부 이정윤 기자 leejuyo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