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특전사회 5·18민주묘지 참배 예고…시민단체와 충돌 우려

㈔대한민국 특전사동지회가 국립 5·18민주묘지 참배를 예고하면서 시민 단체와의 충돌이 빚어질 전망이다.

오월지키기 범시도민 대책위원회가 16일 광주광역시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 민주의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사진=민현기 기자]

22일 공법단체 5·18민주화운동부상자회와 공로자회에 따르면 특전사동지회는 23일 오전 중으로 광주광역시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 참배 일정을 갖는다.

이번 참배는 지난 2월 19일 첫 참배 이후 약 3개월 만으로 부상자회와 공로자회원, 특전사회원을 비롯해 약 50여명이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단체들은 지난 2월 특전사회와 함께 서구 5·18기념문화센터에서 '화해와 용서와 감사 대국민 공동선언회'를 열어 선언문을 발표했고, 당시 5·18에 투입됐던 특전사들도 '명령에 의해 어쩔 수 없이 직무를 수행했다', '군인들도 시민들을 억압하는 과정에서 겪은 트라우마로 정신적 육체적 아픔을 겪었으니 5·18 피해자다'는 발언을 해 특전사들에게 면죄부를 줬다는 논란이 있었다.

또 지역사회에서 공동선언식과 참배에 대해 반발하자 행사 시작 1시간을 앞두고 특전사회 간부진이 부상자회·공로자회와 민주묘지를 기습 방문하면서 '도둑 참배'라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지역사회는 1646개 단체로 구성된 오월정신 지키기 범시도민 대책위원회가 구성돼 대응에 나서고 있다.

5월 18일을 이틀 앞둔 지난 16일에도 부상자회와 공로자회가 특전사회와 참배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대책위는 이들이 참배하기로 한 시각에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양 단체가 22일 또다시 국립묘지 참배를 계획하고 있다고 들었다"면서 "어떠한 경우에도 대국민 선언에 대한 반성과 철회, 진정한 사과 없이는 묘지에 발을 들일 수 없다"고 밝히기도 했다.

호남팀 호남취재본부 민현기 기자 hyunk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