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도둑 팔다가 양심도둑…'산 꽃게, 죽은 걸로 바꿔치기' 논란

상품 바꿔치기 피해 지속해서 일어나
누리꾼들 "어이없어 웃음만 나온다"

인천 한 수산시장에서 한 소비자가 살아있는 꽃게를 구매했는데 집에서 확인해 보니 다리 없는 죽은 꽃게로 바꿔치기 당했다고 주장해 논란이 일고 있다.

21일 온라인 커뮤니티 보배드림에는 '땡땡 포구 꽃게구입 후기'라는 제목의 글과 사진이 게재됐다. 인천에 거주한다고 밝힌 글 작성자 A씨는 "온 김에 꽃게 몇 마리를 사서 아이들이나 삶아줘야겠다는 생각에 살아있는 꽃게를 샀다"며 "집에 도착해 확인해 보니 상태가 사진과 같았다"고 사진을 덧붙였다.

21일 온라인 커뮤니티 보배드림에는 '땡땡포구 꽃게구입후기'라는 제목의 글과 사진이 게재됐다. A씨가 공개한 사진을 보면 죽은 숫게 9마리는 한 마리도 빠짐없이 다리가 1개씩 떨어졌거나, 1개만 남아있다.[사진출처=온라인 커뮤니티 '보배드림']

A씨가 덧붙인 사진을 보면 죽은 수게 9마리는 한 마리도 빠짐없이 다리가 1개씩 떨어졌거나, 1개만 남아있다. A씨는 "꽃게는 얼음 채우고 한 시간 정도 지나면 다리가 사라지냐"며 "참고로 아이스박스 안에 떨어진 다리도 없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이어 "나머지 한 박스도 사진은 없지만, 별반 다르지 않다. 웃음만 나온다"고 덧붙였다.

A씨는 평소 땡땡포구를 대신 다른 곳을 이용했다고 한다. 그는 "오늘은 무슨 바람이 불었는지 가보고 싶었다. 혹시나 바뀌었을지도 모른다는 마음에 갔다"고 방문 경위를 밝혔다.

이어 "입구 쪽 생선구이가 다른 지역과 비교해 가격이나 구성, 맛이 좋아 드디어 땡땡포구가 바뀌었구나, 제가 다 뿌듯했다"고 기뻐했지만, 살아있는 꽃게를 다리 없는 죽은 꽃게로 바꿔치기 당한 뒤 "널리 알려 피해를 줄이고 싶다"고 글을 작성한 배경을 설명했다.

21일 온라인 커뮤니티 보배드림에는 '땡땡포구 꽃게구입후기'라는 제목의 글과 사진이 게재됐다.[사진출처=온라인 커뮤니티 '보배드림']

사연을 접한 누리꾼은 "어이없어 웃음만 나온다" "포장 또는 가게에서 먹고 갈 경우 수산물 고른 다음에 포장 또는 손질 과정을 지켜봐야 한다" "저울 속이기보다 더 악랄한 수법" "물치기 저울 치기만 피한다고 다가 아니다" "하도 밥도둑 밥도둑 하니까 도망 못 가게 다리를 잘랐냐"는 등의 반응을 보였다.

자성 목소리에도 '상품 바꿔치기' 피해 민원은 계속

지난 3월에는 대전의 한 공영 수산물 도매시장에서는 손님이 고른 대게를 상인이 임의로 바꿔치기했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일었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출처=연합뉴스]

수산물 관련 상품 바꿔치기 피해 및 바가지 요금에 대한 민원이 꾸준히 발생하면서 상인들 스스로 자성의 목소리를 내고 있지만 피해는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 3월에는 대전의 한 공영 수산물 도매시장에서는 손님이 고른 대게를 상인이 임의로 바꿔치기했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일었다. 손님이 고른 대게 두 마리 중 한 마리는 다리가 8개였는데, 찜으로 올라온 대게는 두 마리 모두 다리가 10개 붙어 있는 다른 대게였다는 내용이다.

상인은 부족한 다리를 냉동 대게로 채우려다가 상태가 좋지 않아 멀쩡한 활 대게로 바꿔줬다고 해명했다. 이후에도 대전시는 민원이 잇따르자 수산물 바꿔치기나 저울 조작을 할 경우 영업정지 처분을 내리겠다고 밝히며 강경 대응에 나서기도 했다.

지난해에는 충남 보령시가 2022 보령해양머드박람회를 앞두고 2022년 보령방문의 해를 선포하는 등 관광객 유치에 심혈을 기울였지만, 일부 상인들의 바가지와 상품 바꿔치기 등의 행위가 도마 위에 오르기도 했다.

이슈2팀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