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中리오프닝, 공공요금 인상…물가 둔화 더딜 듯'

[이미지출처=연합뉴스]

한국은행은 물가 오름세가 차츰 둔화하고 있지만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과 공공요금 인상 등의 요인으로 둔화 속도가 더딜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2일 BOK이슈노트 '물가 여건 변화 및 주요 리스크 점검' 보고서를 통해 "향후 소비자물가는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이나 최근 여건 변화를 감안할 때 둔화 속도와 관련한 불확실성은 큰 상황"이라고 했다.

우선 한은은 중국의 리오프닝 등에 따른 수요 확대로 국제 유가가 상승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우크라이나 사태 전개 양상과 러시아 감산에 따른 공급차질 우려 등도 유가 상방 리스크로 잠재하고 있어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다.

또 공공요금 인상폭과 시기와 관련한 불확실성이 큰 가운데 전기·도시가스 요금이 올해 추가 인상될 것으로 예상되는 점도 물가 상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은은 "공공요금 인상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직·간접적으로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만큼, 인상폭 및 시기에 따라 물가에 미치는 영향도 적지 않게 달라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국제유가와 공공요금의 경우 생산원가 상승을 통해 다른 재화나 서비스 가격에 대한 이차 파급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근원물가에 대한 상방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

이로 인해 기대인플레이션이 더 오를 경우 물가 오름세 둔화 속도를 더디게 만들 것이란 게 한은 분석이다. 석유류와 전기·도시가스 요금은 체감도가 높아 단기 기대인플레이션과의 연관성이 크다.

이외에도 한은은 우리나라 노동시장이 견조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고, 노동시장과 근원물가는 밀접한 연관성이 존재하는 만큼 노동시장의 인플레이션 압력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국내외 경제상황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큰 가운데 중앙은행의 정책대응에 따라서도 향후 물가 흐름이 달라질 수 있어 정교한 정책대응이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경제금융부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