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경제' 육성 본격화…'2030년 수소차 3만대, 충전소 인프라 확대'

오세훈 서울시장과 한화진 환경부 장관 등이 7일 서울 중구 서소문청사에서 열린 ‘서소문청사 수소충전소 준공식’에 참석해 시설을 둘러보고 있다./김현민 기자 kimhyun81@

[아시아경제 세종=이동우 기자] 정부가 2030년까지 수소상용차 3만대와 액화수소충전소 70개소를 보급해 수소 강국 도약의 발판을 마련한다. 2026년까지 친환경 암모니아 추진 운반선을, 2029년까지 액화수소 운반선을 건조해 국내외 대규모 청정수소 생산 기지와 공급망 구축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9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개최된 제5차 수소경제위원회에서 이같은 전략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우선 2030년까지 현재 211대인 수소상용차를 3만대로 늘리고, 액화수소충전소 70개소를 보급하기로 했다. 청정수소발전 비중은 오는 2036년까지 7.1%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2030년 기준 47.1조원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9.8만명의 고용 창출, 온실가스 약 2800만t 감축 등의 효과를 기대했다.

정부는 또 수소 50%와 암모니아 20% 이상 혼소발전을 위해 오는 2027년까지 기술 개발과 실증을 마치고 2028년부터 단계적으로 혼소발전을 확산하기로 했다. 수소 유통 인프라를 마련하기 위해 세계 최대 수준인 연 4만t 규모의 액화수소 플랜트를 구축하고 2030년까지 석탄발전소 밀집지역에 연 400만t급 암모니아 인수기지와 LNG발전소 밀집지역에 연 10만t급 액화수소 인수기지와 수소 전용 배관망을 만들기로 했다.

국내외 대규모 청정수소 생산 기지와 공급망 구축에도 나선다. 2026년까지 친환경 암모니아 추진 운반선을, 2029년까지 액화수소 운반선을 건조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내년 상반기부터 수소발전 입찰시장을 개설해 청정수소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에도 나선다. 한전과 구역전기사업자를 수소발전량 의무 구매자로 지정하되, 일반 기업도 직접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수소발전량은 전력수급 기본계획과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고려해 연도별로 설정한다.

수소전문기업 600곳도 양성하고 지역별로 특화 클러스터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내년부터 액화수소 3만t 생산정부는 수소 생산부터 저장·운송, 활용에 이르는 전 주기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수소전문기업 육성과 규제 완화를 통해 수소산업 글로벌 선도국가로 도약한다는 구상이다. 수전해, 액화수소 운송선, 트레일러, 충전소, 모빌리티 및 발전용 연료전지, 수소터빈 등 7개 전략 분야에서 선진국 수준의 핵심 기술 개발을 집중 지원한다.

불합리한 규제를 개선하고 민간 투자를 유도하는 동시에 안전기준이 없는 분야는 신속히 기준을 마련한다. 수소 모빌리티, 발전용 연료전지, 수전해 시스템, 액화수소 운송선, 수소충전소 등 5대 유망 분야의 수출 상품화를 적극 지원해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 품목을 2030년까지 10개로 늘린다는 목표다.

세종=이동우 기자 dwlee@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경제부 세종=이동우 기자 dwle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