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국인 내년 5000만명 아래로…2040년엔 3명중 1명 노인

총인구 5019만명으로 165만명 ↓

[아시아경제 황윤주 기자] 내국인 인구가 내년에 5000만명 선 아래로 줄어든다. 2040년에는 우리나라 인구 3명 중 1명이 65세 이상 노인으로 구성된다. 외국인 등 이주배경인구는 323만명으로 늘어난다.

통계청은 이런 내용 등을 담은 2020~2040년 내·외국인 인구전망을 14일 발표했다.

통계청은 우리나라 총인구(내국인+외국인)가 2020년 5184만명에서 2040년 5019만명으로 165만명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저출산 고령화 현상이 점차 심화하면서 뒤로 갈수록 인구 감소율이 더욱 가파르게 오르는 구조다.

이 기간에 총인구 중 내국인 구성비는 96.7%에서 95.7%로 감소한다. 외국인은 3.3%에서 4.3%로 증가한다. 외국인이 늘어나면서 심각한 인구 감소 국면을 다소나마 완화해준다.

내국인 인구는 올해 5003만명에서 내년 4992만명으로 줄어든다. 내국인 생산연령인구는 2020년 3583만명 기준으로 10년 동안 362만명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2030년에 3221만명, 2040년엔 2676만명으로 줄어든다.

생산연령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71.5%에서 2040년 55.7%로 떨어진다. 같은 기간 0~14세 유소년인구 비중도 12.4%에서 8.9%로 감소한다.

이에 반해 내국인 고령인구(65세 이상)는 같은 기간 807만명에서 1698만명으로 2배 이상으로 늘어난다. 통계청은 고령인구가 3년 뒤인 2025년에 1000만명을 넘고, 2035년엔 15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16.1%에서 2040년에는 35.3%로 높아진다. 2040년에는 3명 중 1명이 고령인구라는 의미다.

15~64세 생산연령인구 대비 65세 이상 노인의 비율을 의미하는 노년 부양비는 2020년 22.5명에서 2040년 63.4명으로 3배 가까운 수준으로 올라간다. 생산연령인구 3명이 고령인구 2명을 부양하는 수준이다.

황윤주 기자 hyj@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황윤주 기자 hyj@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