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우폴 함락위기에…美 곡사포 등 중화기 지원(종합)

바이든 "8억달러 추가 군사지원" 발표
곡사포 등 중화기 첫 지원...지원확대 전망
러 "마리우폴 항구 점령...우크라 수비대 항복"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이현우 기자, 조현의 기자] 우크라이나 남부 주요 요충지인 마리우폴이 함락위기에 처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우리 돈 약 1조원 상당의 추가 무기지원에 나선다고 발표했다. 이번 지원에는 곡사포와 같은 중화기도 처음으로 지원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가 돈바스 지역을 중심으로 공세를 한층 강화할 것으로 우려되면서 향후 미국과 서방의 추가 무기지원과 개입여지도 보다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전화통화 후 발표한 성명에서 "우크라이나에 무기와 탄약 등을 포함해 8억달러(약 9800억원) 규모 군사원조를 제공하기로 결정했다"며 "러시아가 돈바스 지역에 대한 공격을 강화할 준비를 함에 따라 미국은 우크라이나에 계속해서 자신을 방어할 능력을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 국방부는 이번 추가 무기지원을 통해 미국은 우크라이나에 155mm 곡사포 18기와 포탄 4만발, M113 장갑차 200대, 대전차 재블린 미사일 500기, 대전차 무인기(드론) 스위치블레이드 300대 등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존 커비 미 국방부 대변인은 "곡사포 지원은 이번 전쟁과 관련해 미국이 처음 제공하는 것으로 우크라이나 정부의 특별 요청에 따른 것"이라고 강조했다.

러시아의 공세 강화 우려에 미국이 곡사포 등 중화기 지원에 나서면서 향후 전쟁 양상에 따라 미국의 개입여지가 커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번 추가 무기지원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미국의 개입이 상당히 확대됐음을 의미한다"며 "전쟁이 진행될수록 러시아가 서방세계에 보복할 가능성이 낮다는 미국과 동맹국들의 믿음을 반영하기도 한다"고 분석했다.

우크라이나의 요충지인 마리우폴은 러시아군에 의해 함락 직전 상황인 것으로 파악된다. 이날 타스통신에 따르면 이고리 코나셴코프 러시아 국방부 대변인은 "마리우폴의 상업항구를 완전히 해방했다"며 "마리우폴의 일리치 제철단지 구역에서 도네츠크인민공화국(DPR) 군대와 러시아군의 성공적 공격으로 우크라이나 제36 해병여단 소속 군인 1026명이 무기를 내려놓고 포로가 됐다"고 발표했다.

바딤 보이쳰코 마리우폴 시장은 영국 스카이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마리우폴은 여전히 우크라이나의 도시로 남아있지만 수비군들은 버티기가 매우 어렵다"며 "러시아군의 폭격으로 이미 2만1000명 이상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AP통신에 따르면 우크라이나군은 지역 방위대인 아조우(아조프) 연대를 중심으로 마리우폴 내 최대 제철소인 아조우스탈 제철소에 집결해 최후 저항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도시 기반시설의 90% 이상이 파괴되고 식량과 식수, 전기마저 공급이 끊어진 상태라 수비군의 저항은 길게 이어지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러시아군은 개전 이후 전략적 요충지인 마리우폴에 대해 집중적인 공세를 펼쳐왔다. 특히 마리우폴은 친러 분리주의 세력인 DPR과 루한스크인민공화국(LPR)이 위치한 돈바스 지역, 2014년 러시아에 병합된 크림반도를 육상으로 연결해주는 지역이라 마리우폴이 함락될시 러시아의 공세가 더욱 거세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조현의 기자 honey@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국제부 조현의 기자 hone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