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랑 끝 러 '자급자족'…서방 제재에 '요새 전략' 수포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김현정 기자] 러시아가 수년 전 부터 추진하던 '자급자족 경제' 전략이 서방의 강화된 제재에 따라 수포로 돌아갈 전망이다. 수입의존도를 낮추는 데 실패한 상황에서 핵심 부품이나 재료를 조달하지 못한 기업들은 문을 닫고 있다.

2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부과된 제재의 영향으로 서방에 맞서 경재력을 강화하려는 러시아의 수 년 간의 노력이 효과가 없다는 점이 확인됐다"며 이 같이 보도했다. WSJ은 "러시아 자동차 산업의 일부가 외산 부품 부족으로 문을 닫고 있으며, 애완동물 사료나 의약품도 매대에서 사라지고 있다"고 전했다.

러시아는 2014년 크름반도 합병 이후 서방의 제재에 대응하기 위한 자급자족 경제, 이른바 '요새 전략'을 다년간 추진해왔다. 2015년에서 2020년 사이 러시아 당국은 수입 대체 프로그램에 2조9000억루블(약 33조8430억원)을 투자했으며,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예산 지출의 1.4%에 해당됐다. 그러나 이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세계 평균을 밑돌았고, 러시아인은 크름반도 합병 이전보다 더 어렵게 지내야 했다. 2020년 말 러시아의 실질소득은 2013년 대비 9.3% 하락했다. 2019년 러시아 저널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러시아의 식품 수입 금지 조치로 소비자에게 연간 4450루블 수준의 추가 비용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후 상황은 더 악화될 뿐이었다. 러시아 가이다르 경제정책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제조업체의 약 81%가 필요한 수입품의 러시아산 대체제를 찾지 못했다고 토로했으며, 50% 이상이 국내 생산품의 품질에 불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돼됐다. 두 수치는 모두 2015년 해당 조사가 시작된 이후 최고치다.

모스크바 소재 고등경제대학의 연구에서는 2020년 러시아 소매시장에서 비식품 소비재 판매의 75%가 수입품이었는 조사결과도 나왔다. 통신장비의 경우 86%까지 증가했다. 전체 수입은 2020년 국내총생산(GDP)의 20%에 해당해 중국(16%)과 비교해도 높다.

러시아의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반도체칩 등 수입 부품 부족으로 타격을 입은 상태다. 지난 16일 러시아 타타르스탄 자치공화국 지도자는 트럭 제조업체 카마즈의 생산량이 최대 40% 급감했으며, 회사 공급망 문제가 해결될 때 까지 1만5000명의 직원이 실직 상태에 놓일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에너지 산업 역시 경고등이 켜졌다. 러시아는 유전과 가스전은 매우 노후화된 상태다. 이를 교체하기 위해 서구 시스템에 의존하고 있었으나, 서방의 제재로 관련 프로젝트는 모두 연기·취소되고 있다.

야니게 클루게 독일 국제안보문제연구소 연구원은 "러시아와 같은 소규모 경제는 자체적으로 첨단기술 제품을 생산할 수 없다"면서 "애초부터 러시아의 야망은 비현실적이었다"고 지적했다.

김현정 기자 alphag@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김현정 기자 alpha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