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무단입산자·소각행위자' 특별 단속 강화

오는 5. 15까지 산불방지대책본부 본격 가동

자료 사진 [강원도소방본부]

[아시아경제 라영철 기자] 강원도 산불방지대책본부는 "오는 5월 15일까지 '봄철 산불조심기간'으로 정하고 도 내 183개 기관에서 '산불방지대책본부'를 운영, 본격적인 산불방지체계에 돌입한다"고 2일 밝혔다.

도는 산불예방과 선제적 대응을 위해 올해 산불 진화 헬기를 총 30대를 운영해 산불 발생 시 초기 대응을 강화한다.

임차 헬기는 연중 발생하는 산불에 대비하기 위해 기존 6개월에서 8개월로 운용 기간을 연장했다.

또한 정부 건의를 통해 산불 재난 특별교부세 20억 원 확보해 산불 예방 홍보, 진화 장비 확충, '산불에 강한 마을 가꾸기(6개 마을)' 사업을 추진한다.

중점 대책은 산불 발생 초기부터 산불 현장 통합 지휘권자(지자체장)의 현장 지휘로 산불 대응을 강화하며, 산림 인접지 인화물질(영농부산물) 사전 제거를 확대 추진한다.

산불 예방·감시 인력을 주요 등산로와 입산 통제구역으로 전진 배치하고 동해안 산불 대응을 위해 산불 단계 별로 인접 시·군과 자원을 상호 지원해 대응 체계를 강화한다.

불법 소각 행위자에는 강력 단속과 과태료 부과 등 산불 가해자 검거를 강화할 방침이다.

시기별·원인별 맞춤형 산불 대응 전략을 중점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앞서 대책본부는 지난달 14일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 '관심'발령에 따라 산불방지대책본부 조기 운영과 산불감시원·진화대를 조기 배치한 바 있다.

대책본부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입산자 실화(44%)와 논·밭두렁과 쓰레기 소각 등 소각 산불이(19%) 주요 원인으로 연평균 72건, 551ha의 피해가 발생했다. (2021년 47건, 87.67ha)

김경구 녹색국장은 "봄철 기상 전망에 따르면 그 어느 때보다 산불 발생 위험이 높을 것으로 예상, 불씨 관리 부주의로 인한 산불이 발생하지 않도록 전 도민이 협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

강원=라영철 기자 ktvko2580@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라영철 기자 ktvko2580@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