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쓰레기 이대론 안된다” 그린뉴딜청년포럼 좌담회 개최

포럼 “육상 쓰레기 종량제를 하지만 해상은 무법천지”

지난 27일 전남 목포서 개최된 좌담회 현장. 사진 = 그린뉴딜청년포럼 제공.

[아시아경제 호남취재본부 정승현 기자] 그린뉴딜청년포럼이 지난 27일 발족식과 함께 해양쓰레기를 주제로 좌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좌담회는 박효상 전남신용보증재단 컨설턴트의 사회로 조옥현 전남도의회 대변인, 이재경 국립목포대학교 교수, 장진영 생활esg전남대표, 신선 그린뉴딜청년포럼 회장으로 패널이 꾸려졌다. 포럼회원들이 청중으로 최소 인원만 참석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축소 개최된 좌담회는 ‘그린뉴딜로 인한 지역경제의 변화’라는 주제로 지역환경에 대한 변화와 현재 해양쓰레기 실태에 대해서 공유하는 자리가 됐다.

현재 지역인근 해양쓰레기 실태를 브리핑하고 있는 신선 그린뉴딜청년포럼 회장.

좌담에 앞서 신선 회장은 ‘썩어가는 우리바다, 해양쓰레기의 현황실태’라는 주제로 프리젠테이션을 통해 해양쓰레기의 현존추정량, 관련법안 및 정책 등에 대한 설명했다.

좌담회는 그린뉴딜에 대한 견해와 필요성, 급속한 산업화에 따른 자연파괴 사례, 어업들의 족쇄가 돼버린 바닷속 폐어구 해결책, 지속가능한 어업의 방향이라는 4가지의 주제로 진행됐다.

그린뉴딜의 지속적인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하는 조옥현 전남도의회 대변인.

조옥현 전남도의회 대변인은 “그린뉴딜은 지금 변해가는 기후변화와 환경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해 나가자는 정책이다”며 “하지만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고 국민들간 노력이 없다면 아무런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고 직언했다.

또 “그린뉴딜정책의 지속가능성을 어떻게 이어갈지는 민과 관이 머리를 맞대고 고민해야 하고 오늘 좌담회와 같은 자리가 자주 열렸으면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세계 주요 선진국들은 이미 탄소중립(Net-zero)을 선언을 통해 기후위기 대응 노력을 강화 하고 있는 가운데 대한민국도 2050탄소중립(Net-zero)사회 실현을 목표로 하는 그린뉴딜 종합계획을 발표한 상황이다.

기후변화 대응과 경제성장이 동시에 달성되어야 한다는 장진영 생활esg 전남대표.

장진영 생활esg 전남대표는 “재생에너지산업, 녹색일자리창출 등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과 경제성장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어야 하고 환경위기에 대응 할 수 있는 그린뉴딜은 우리에게 꼭 필요하고 지속 성장해야 한다”며 “새로운 성장전략 바로 그린뉴딜 요충지인 전남에서부터 활성화를 시켜야만 한다”고 말했다.

이어진 급속한 산업화에 따른 자연파괴 사례에 대해 신 회장은 “현재 신안 인근 바다쓰레기의 90%이상은 폐어구 쓰레기다”며 “어업과 관련 산업은 날로 발전하지만 그에 대한 제도와 개선책은 턱없이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어업 역시 환경과 동반 변화를 해야 한다는 이재경 목포대교수.

이재경 목포대 교수 역시 “1960~70년대까지는 잡는 어업이 중심이었다면 1980~90년대 들면서 어종을 길러보자는 취지에서 양식업에 집중하게 됐지만 환경변화가 지속화되고 오염이 누적되면서 양식어획량도 줄어든 상황이다”며 “현재 어업의 방향은 잡고 기르는 게 아니라 이제는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다”고 강조했다.

좌담회에 참석한 패널들 역시 어업인들의 족쇄가 되어버린 폐어구에 대해 어구관리 및 그물실명제, 어구GPS사업 등 다양한 대안책을 내놓기도 했다.

좌담회를 통해 패널들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박효상 전남신용보증재단 컨설턴트.

이어 박효상 전남신용보증재단 컨설턴트는 “인근 지자체들 해상관련 부서들에게 어구 관리 및 실태조사에 대해서 물었지만 정확한 데이터조차 없다”며 “철저한 어구 관리와 더불어 민·관의 지속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좌담회를 개최한 그린뉴딜청년포럼은 향후 그린뉴딜E매거진을 발간하고 지역 내 환경거버넌스 및 교육정책을 제시하는 단체로 활동할 계획이다.

호남취재본부 정승현 기자 koei34@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호남팀 호남취재본부 정승현 기자 koei3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