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산업銀, 부도 위기 쌍용차 구제키로…21일 발표 유력

고용과 지역 경제 등 심각한 피해 고려
만기 연장 외에 출자전환·기안기금 방식도 거론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장세희 기자]산업은행이 유동성 위기에 몰린 쌍용차를 구제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국내 자동차 산업이 위기를 맞은 상황에서 추가 고용 피해와 산업 등에 미칠 피해를 고려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19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산은은 오는 21일 만기가 도래하는 총 900억원 규모의 쌍용차 대출 만기 연장을 한차례 더 연장해 주는 쪽으로 가닥을 잡고 최종 발표 시기를 조율하고 있다. 만기 도래일인 21일이 유력하다. 정부 관계자는 "쌍용차의 대출금 상환 문제를 포함해 유동성을 지원하는 쪽으로 긍정 검토되고 있다"며 "조만간 최종 합의를 거쳐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산은은 고용과 산업이 받을 충격을 고려한 것으로 알려진다. 쌍용차가 무너지면 협력사와 판매 대리점 등에 연쇄적인 고용충격이 발생할 수 있어 대규모 실직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산은은 지난 9월 900억원의 만기를 한차례 연장하면서 대주주의 책임 있는 자세를 요구한 바 있다. 당시 최대현 산은 기업금융부문 부행장은 "쌍용차에 지원하려면 책임 주체가 의지를 갖고 있어야 하고 책임 있는 노력도 해야 한다"며 "회사의 지속 가능성도 확인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채권은행인 산은의 대출금 상환 유예 결정에 무게가 실리면서 쌍용차는 법정관리라는 최악의 상황을 면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어려움은 지속될 전망이다.

유동성 위기가 지속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출자전환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출자전환이 이뤄지면 산업은행이 채권자에서 주주로 바뀌게 되고, 쌍용차의 대출금 상환 부담은 없어지기 때문에 투자 여력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쌍용차 지원방안이 40조원 규모의 기간산업안정기금(기안기금)으로 다뤄질 가능성도 있다. 쌍용차는 기간산업안정기금을 통해 2000억원 정도를 지원받기를 기대하고 있다. 다만 쌍용차가 코로나 19 사태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이 아니라는 점을 감안했을 때 정부의 정책적 판단이 요구된다.

쌍용차는 2017년 이후 올해 3분기까지 15분기(3년 9개월) 연속 적자를 내고 있다. 이 기간 누적 영업손실은 규모는 6000억원을 넘었다. 또 쌍용차의 감사보고서를 보면 이번에 연체한 채무 외에 1년 내 만기가 예정된 단기 차입금만 1600억원이 넘는다.

금융권 관계자는 "쌍용차가 산은의 구제로 법정관리행은 피하더라도 계속 돌아오는 만기와 향후 사업 여건이 만만치 않다"며 "유동성 부분에서 근본적인 해결이 안 되는 것은 숙제"라고 말했다.

장세희 기자 jangsay@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경제부 장세희 기자 jangsa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