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P2P 업체 ‘시소펀딩’ 상환 지연, 경찰 수사 착수

원급 지급 예정 30여개 상품 상환 지연…피해 투자자만 800여명

투자자들 개별 고소장 접수…일부는 집단 소송도 준비 중

일러스트=이영우 기자 20wo@

[아시아경제 유병돈 기자] 온라인투자연계금융(P2P) 업체 시소펀딩에서 원금 상환 지연이 발생한 것과 관련해 경찰이 수사에 착수했다.

서울 영등포경찰서는 지난달 18일 시소펀딩에 대한 투자자들의 고소장을 접수하고 수사에 착수했다고 9일 밝혔다.

앞서 시소펀딩은 홈페이지를 통해 "여러 건의 상환 지연 발생으로 투자자들에게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고 공지한 바 있다. 지연 대상 상품은 30여개였다. 시소펀딩은 5년째 영업 중인 P2P업체로, 누적 대출금 3468억원을 기록 중이다. 업체가 상환 지연을 공지한 지난달 18일을 기준으로 대출 잔액은 478억원이다.

원리금을 제때 돌려받지 못한 투자자들이 네이버 카페와 카카오톡 오픈채팅방 등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대응 방식을 모의하고 있다. 현재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에 참여 중인 투자자만 800명을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는 소송인단을 꾸려 집단 대응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보다 앞서 일부 투자자들이 개별적으로 사기 등의 혐의를 적용해 시소펀딩 측을 영등포경찰서에 고소한 상황이다. 영등포경찰서 관계자는 "집단 고소가 아닌 개별 고소만 접수되고 있다"면서 "정확한 내용은 수사 진행 중인 사안이라 확인해 줄 수 없다"고 설명했다.

한편 최근 P2P금융 상위권 업체들에서 사기와 상환 지연 사건 등이 잇따라 일어나면서 투자자들 사이에서 불안감이 조성되고 있다. 부실 사례가 발생해 현재 소송이 추진되고 있는 업체도 다수다.

알려진 피해 투자자만 4000명에 달하고 피해금이 577억원 규모인 블루문펀드가 대표적이다. 블루문펀드의 대표 김모씨는 지난 7월 말 폐업한 뒤 해외로 잠적했고, 투자자들은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집단 소송을 준비 중이다.

또 같은 달 넥스리치펀딩(넥펀) 대표도 사기 및 유사수신행위의 규제에 관한 법률 위반 등의 혐의로 구속됐다. 넥펀은 신규 투자자에게 모은 투자금을 종전 투자자의 원리금을 돌려주는 데 사용하는 이른바 '돌려막기' 수법으로 약 251억원의 피해를 발생시켰다. 2000여 명의 피해자는 피해를 보전받기 위한 소송을 진행하고 있다.

유병돈 기자 tamond@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유병돈 기자 tamond@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