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기 절반' 인천경제청장 사퇴…'시장의 의중' 일방통보 잡음

청라 집단민원 희생양 여론…송도 주민단체 26일 항의 기자회견
1급 기관장 사퇴 종용에 '적폐 답습' 비판 일어

김진용 인천경제청장

[아시아경제 박혜숙 기자] 인천시가 임기가 절반가량 남은 김진용 인천경제자유구역청장을 교체한다. 박남춘 시장이 불과 3개월전만 해도 인천경제청장의 교체는 없을 거라고 밝혔던 만큼 사실상 경질성 인사 배경을 둘러싸고 공직 안팎이 술렁이고 있다.

24일 인천시에 따르면 시 고위 관계자는 최근 김 청장에게 '시장의 의중' 이라며 자리에서 물러날 것을 요구했다.

김 청장은 유정복 전임 인천시장 시절이던 2017년 9월 취임했다. 임기는 2020년 9월로 아직 1년 반 정도 남아있다. 김 청장은 거취를 놓고 고민해오다 결국 사퇴 쪽으로 마음을 굳혔다. 다음달 초 쿠웨이트 출장을 다녀와서 임기를 마무리할 것으로 알려졌다.

개방형 임용 공모를 통해 1급 상당의 인천경제청장에 임명된 김 청장은 자리에서 물러나더라도 퇴직 당시 2급 인천시 공무원으로 복귀하게 된다.

김 청장의 갑작스런 경질 배경을 두고 관가 안팎에선 잡음이 일고 있다. 우선 박 시장이 지난 1월 청라주민들이 제기한 온라인 시민청원에 대한 답변을 통해 "경제청장의 사퇴가 청라 현안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아니다"며 김 청장을 옹호한 바 있어 이번 결정의 의외성이 더 부각됐다.

아울러 최근 G시티 사업 무산에 따른 청라 주민들의 집단 민원이 발단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주민들은 사업 무산의 책임을 박 시장과 더불어민주당에 돌리고 있어 김 청장 경질로 사안을 마무리하려는 것이란 분석이다.

하지만 공직내부는 물론 지역사회에선 청라G시티 무산의 책임을 김 청장에게만 돌릴 수 없다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청라주민들은 G시티 사업시행사가 사업부지의 40%에 이르는 부지에 8000실 규모의 생활형 숙박시설을 지을 수 있도록 허용해 달라는 요청을 김 청장이 끝까지 거절하면서 사업이 무산됐다고 반발하고 있지만, 국제업무단지에 숙박시설이 대거 들어서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게 중론이다.

더구나 이런 입장은 박 시장도 같았고 그의 지휘를 받고 인허가권자인 김 청장이 나섰음은 물론이다.

김 청장이 인천시의회에 밉보여 박 시장에게 정치적 부담을 줬다는 설도 나오고 있다.

지난달 인천시의회는 경제자유구역에 기업·시설을 유치하려면 시의회에 의무적으로 보고하도록 조례를 개정했다. 이에 투자 위축을 우려하는 송도 주민들이 거세게 항의했다. 시의원들은 김 청장이 주민의 반발 배후라고 의심하면서 박 시장을 압박했다는 후문이다.

실제 송도의 한 주민단체는 "시의회가 주민들과 소통을 못한 책임을 김 청장에게 전가하고 있다"며 불쾌감을 드러냈다. 이와 관련 이 단체가 26일 오전 10시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기로 해 김 청장의 인사를 둘러싼 파장이 지역사회로 번지는 양상이다.

이 단체 관계자는 "인천시장이 청라 주민들의 집단민원에 밀려 열심히 일해 온 김 청장을 경질하려 한다"며 "송도에 산적한 현안들이 속도를 내고 있는 상황에서 청라(주민들) 때문에 송도가 사망선고를 받게 됐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한편 박 시장이 김 청장을 사퇴시키는 과정에서 인천시 고위 공무원을 통해 일방적 통보를 한 것을 두고 1급 기관장에 대해 배려가 부족했다는 비판도 있다. 더욱이 지난 주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순방 일정에 맞춰 김 청장이 출장에 나선 그 시점에 사퇴를 종용해 너무 지나친 처사였다는 지적이다.

인천시 한 공무원은 "노무현 정부 때 청와대 인사수석을 지낸 이력을 스스로도 자랑스러워하는 박 시장 이기에 역대 시장들 보다는 합리적인 인사 철학을 가졌을 거라는 기대감이 컸다"며 "물러날 기미가 없던 김 청장에게 '시장의 의중' 이라며 거듭 사퇴를 종용한 행태 역시 과거 정권의 적폐를 답습한 것이 아니냐"고 반문했다.

박혜숙 기자 hsp0664@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박혜숙 기자 hsp066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