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버라이즌의 5G 기습 상용화…'속도, 커버리지 4.5G에 불과'

[아시아경제 명진규 기자] 미국 이동통신사 버라이즌이 '세계 최초' 타이틀을 빼앗아 가기 위해 오는 11일로 예정된 '5G 스마트폰 상용 서비스' 일정을 일주일 앞당겨 3일(현지시간) 기습 상용화를 일반 개통을 시작했다. 다행히 우리나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이동통신 3사, 삼성전자가 힘을 모아 '세계 최초' 타이틀을 지킨 가운데 버라이즌의 속도, 커버리지 등을 고려할때 5G라고 평하기는 어려워 4.5G 서비스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4일 통신 업계 관계자는 "버라이즌이 우리나라 이통 3사와 1시간 차이로 5G 스마트폰 개통을 시작하며 정식 상용서비스를 시작했지만 제대로 된 5G 서비스라고 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단말기는 물론 속도, 커버리지 등 모든 면에서 부족해 5G가 아닌 4.5G라고 불러야 한다"고 말했다.

버라이즌이 발표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5G 서비스는 미국 시카고와 미네아폴리스 2개 도시에서 상용화됐다. 실제 5G를 사용할 수 있는 곳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시카고의 경우 웨스트 루프와 사우스 루프, 유니언스테이션, 윌리스 타워, 밀레니엄 파크, 시카고 씨어터 등의 일부 지역만 5G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웨스트 루프와 사우스 루프는 대규모 공공시설들이 밀집해 있는 지역이다.

미네아폴리스 역시 비슷한 사정이다. 다운타운 이스트, 웨스트 지역과 US뱅크 스타디움, 미네아폴리스 컨벤션 센터, 미네아폴리스 중앙 도서관 등 일부 공공시설 인근서만 5G를 사용할 수 있다. 전국 주요 대도시 위주로 5G 서비스를 상용화한 국내 이통사들과는 큰 차이가 있다.

버라이즌은 미국 주요 30여개 도시에 5G를 조만간 상용화 하겠다고 밝혔지만 연내 실현될지는 미지수다. 여기에 또 다른 이동통신사 AT&T는 오는 12월에나 5G 상용화가 가능해 이동통신 3사가 나란히 5G 상용화에 나선 우리나라와는 큰 차이가 있다.

속도 역시 5G라고 부르기에는 민망한 수준이다. 버라이즌이 밝힌 자사 5G 서비스의 평균 속도는 450Mbps다. 최고 속도 역시 1Gbps에 불과하다. 우리나라 이동통신 3사가 밝힌 5G 서비스 평균 속도는 약 1Gbps 수준, 최고 속도는 2.2Gbps~2.7Gbps(SK텔레콤)에 달해 두배 이상 빠르다.

이미 논란이 된 모토로라의 단말기 역시 5G 스마트폰이 아닌 5G 모듈을 연결해 사용하는 형태로 엄밀하게 따지면 5G 스마트폰이 아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세계 최초 5G폰 '갤럭시S10 5G'를 이용해 상용 서비스를 시작했다.

명진규 기자 aeon@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4차산업부 명진규 기자 ae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