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정상회담 결렬…건설업계 '당혹'

남북경협 무기한 연기 가능성…추진 전략 재수립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제2차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되며 남북 경제협력에 따른 다양한 인프라 사업을 준비했던 국내 건설업계도 충격을 받았다. 그동안 자체 대북사업팀 통해 시나리오별 전략 수립에 나섰지만 이번 결과로 경제협력 자체가 무기한 연기될 가능성이 생겨서다.

4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국내 대형 건설사들은 이번 북·미 정상회담 결과에 대한 분석과 함께 그동안 추진했던 남북경협 추진 전략에 대한 재수립에 들어갔다.

앞서 건설사들은 이번 회담을 앞두고 남북경협에 높은 기대감을 보였다. 장기간 침체된 국내 건설경기 탓에 남북경협만이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실제 대북사업에 가장 경험이 많은 현대건설의 경우 올초 신설한 남북경협지원단에 북미정상회담에 따른 대북 경제제재 변화 분석과 대응체제를 수립해왔다.

현대건설은 과거 북한 경수로 사업을 진행하는 등 국내 기업들 가운데 가장 많은 남북경협 경험을 갖고 있다. 1998년 소떼 방문을 계기로 남북 협력 사업 최전방에서 활동했다. 2000년 평양의 '류경정주영체육관' 시공을 맡아 북측과 공사를 진행한 것을 시작으로 1999년부터 2006년까지 북한 경수로 사업, 금강산 문화회관 등 총 7000억원 규모의 대북사업을 수행했다.

현대건설의 남북경협지원단은 10여명 정도다. 경협사업 동향점검 및 대응전략 수립이 주 임무다. 현대건설 내부에는 남북경협 경험이 있는 차·부장급 인력이 70~80명 가량 있어 이번 회담 결과에 따라 인력을 추가로 투입할 가능성도 있었다. 더욱이 이번 2차 북미정상회담이 이뤄진 베트남에서 하노이 지하철 지하터널·역사 공사 현장 직원 등을 통해 정보 수집까지 한 상태였다.

남북경협 경험이 있는 대우건설 역시 지난해 전략기획사업본부 산하에 꾸린 북방사업지원팀을 중심으로 이번 2차 북·미 정상회담 결과를 분석하고 있다. 앞서 대우건설은 1996년 남포공단 사업을 시작으로 2000년 현대건설과 함께 북한 경수로 건설 사업을 진행했고 경의선(문산~군산분계선), 동해북부선(제진~군산분계선) 등 도로 사업에 참여한 바 있다.

GS건설도 새로 조직한 대북TF를 통해 장기전에 들어간 남북경협에 맞는 사업별 추진 전략 수립에 들어갔다. 토목·전력 등 인프라사업 담당자 10여명을 배치한 상태로 앞으로는 관련 정보 수집에 집중할 것으로 알려졌다.

건축설계 및 CM·감리업체 중 유일하게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였던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도 자체 분석에 나섰다. 지난해 발족한 남북 경제 협력 및 대북사업 지원을 위한 '남북 경협 지원 TFT'를 통해 이번 회담 결과에 따른 새로운 전략을 수립하기로 했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갑작스러운 북·미 정상회담 결렬로 협상 재개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이지만 대북 제재 해제, 경협 재개 가능성을 열어 놓고 꾸준히 준비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경협 개발 시 한반도 경제협력 11개 핵심 프로젝트에 96조원이 투입되는 등 총 270조원의 인프라 투자가 필요할 전망이다. 향후 10년간 연평균 27조원의 시장이 형성되는 셈으로 주택의 경우 10년간 평균 45만가구 수준의 신규 공급이 필요하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