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낙규의 Defence Club]한미, MDL 비행금지구역 놓고 이견 생겼나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 9ㆍ19 남북 군사합의서에 따라 11월1일부터 시행 예정인 군사분계선(MDL) 비행금지구역 설정을 둘러싸고 한미간에 불협화음이 예고되고 있다. 미국 정부는 남북간에 비행금지구역 설정하기로 한 데 대해 반대 의사를 표명했기 때문이다.미국 의회전문매체 더힐은 18일 주요 외신을 인용해 미정부는 북한의 비핵화 과정에 진전이 없는 상태에서 비행금지구역을 설정해 시행하는 것에 우려를 드러냈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해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강경화 외교장관에게 전화를 걸어 강한 불만을 표시한 것으로 지난주에 확인된 바 있다.미국이 불만을 표시하는 것은 MDL 주변에서 비행금지구역이 설정되면 공군의 정찰 등 정보수집이 제한되고, 공중 훈련에 지장을 받는 것을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다. 한미공군은 전방에서 근접항공지원(CAS)와 대화력전훈련(ATK)이 제한된다는 것이다. 특히 북한이 기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사정포의 도발 징후를 포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MDL 인근에 배치된 북한군의 1000여 문에 달하는 각종 포 가운데 장사정포는 핵ㆍ미사일, 특수전 부대와 함께 북한의 3대 위협 전력으로 꼽혀왔다. 사거리 54㎞의 170mm 자주포 6개 대대와 사거리 60㎞의 240mm 방사포 10여개 대대에 속한 장사정포 330여 문이 수도권을 직접 겨냥하는 것으로 군 당국은 평가하고 있다.특히 장사정포는 갱도 진지 속에 있다가 발사 때만 갱도 밖으로 나온다. 갱도 밖으로 나와 발사하고 들어가는 데 6분~15분가량 소요된다. 이 때문에 장사정포를 타격하기도 쉽지 않다. 또 170㎜ 자주포는 분당 2발을, 240㎜ 방사포는 분당 40여 발을 각각 발사할 수 있다. 330여 문이 동시에 포문을 열면 1시간당 2만5000여 발이 날아와 서울시 전체 면적의 3분의 1가량이 피해를 볼 수 있다고 군은 분석하고 있다.일각에서는 북한이 남북간에 포병전력의 상호 철수에 합의한 것은 경기도 동두천의 미군기지인 캠프 케이시에 주둔한 제210 화력여단을 겨냥한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북한이 장사정포 선제공격을 가할 경우 반격의 시간을 벌 수 있다는 것이다. 즉, 210 화력여단의 무력화시키기 위한 의도라는 것이다.미 210포병여단은 현재 경기 북부에 주둔하는 유일한 주한미군 부대로 북한 공격 시 미군 자동 개입(인계철선) 역할을 한다. 북한이 전방 부대를 후방으로 재배치하자고 요구할 경우 주한미군 210 화력여단을 거론할 가능성이 크다. 210 화력여단은 화력만으로는 우리군의 군단급 전력이란 평가를 받고 있다. 사거리 45㎞의 다연장로켓(MLRS), 사거리 300㎞의 전술지대지미사일(ATACMS) , M109A6 자주포와 대포병레이더를 갖추고 있다.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백승주 자유한국당 의원은 "북한의 장사정포 철수 등 추가조치없이 남북이 합의한 비행금지구역 설정을 미측이 받아들이기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양낙규 기자 if@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부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