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거래량 '통계의 오류'

[아시아경제 박민규 기자] 고강도 8·2 부동산 대책 이후 급감했던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9월 들어 회복세로 돌아선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시장에 공개된 통계치는 10월 거래절벽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나 혼란을 주고 있다는 지적이다.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9월 서울 아파트 실거래 건수(계약일 기준)는 6878건으로 전달보다 1752건(34.2%) 늘었다.
지난해 말 11.3 대책 등의 영향으로 올 1월 3747건까지 줄었던 서울 아파트 실거래량은 지난 5월 1만4807건으로 확대됐다. 이후 6·19 대책이 나오면서 6월 1만2872건으로 줄었다. 그러나 다음달인 7월 1만4972건으로 늘어나며 올 들어 가장 많은 거래량을 기록했다. 주택시장 과열을 잡기 위해 정부가 고강도 8·2 대책을 꺼내 놓으면서 8월 거래량은 5126건으로 급감했다. 하지만 이 역시 오래가지 않았다. 9월 들어 거래량은 8월보다 34.2% 늘어나며 회복세를 보인 것이다.이는 국토부가 최근 공개한 주택 매매거래량과 차이가 있다. 국토부가 밝힌 서울의 주택 매매거래량은 지난 7월 2만3972건에서 8월 2만4259건으로 증가하며 정점을 찍은 뒤 9월 1만5572건, 10월 8561건으로 감소세다. 아파트 매매거래량만 살펴보면 7월 1만5168건에서 8월 1만5421건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뒤 9월 8652건, 10월 3942건으로 급감했다. 거래절벽이라는 말이 나올 만한 상황이다.아파트 매매거래량과 실거래 건수가 서로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실거래 건수가 계약일 기준인 것과 달리 매매거래량은 신고일 기준이기 때문이다. 부동산 거래는 계약일로부터 60일 이내에 신고하도록 돼 있다. 즉, 10월 아파트 매매거래량이 3942건까지 줄어든 것은 길게는 두달 전 상황이 반영된 탓이다. 실제 현재까지 신고된 서울의 10월 아파트 실거래 건수는 4558건으로 이보다 많았다. 아직 한달간 신고기간이 남아 있는 만큼 10월 실거래 건수는 9월보다 늘어날 전망이다.이처럼 주택 거래량 공식 통계치는 신고일 기준으로 집계되는 데 비해 감정원이 조사하는 주택가격동향은 신고 전 실거래 사례가 포함된다. 이 때문에 이 둘을 서로 연결 시켜 시장 흐름을 해석할 경우 '미스매치'가 일어난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실상을 잘 모르는 경우 통계 해석의 오류를 범하게 되는 것이다. 신고일 기준 매매거래량이 공식 통계치로 쓰이고 있는 탓에 벌어지는 현상이다. 아파트 외에 분양·입주권 거래도 증가세로 돌아섰다.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의 분양·입주권 거래량은 지난 7월 813건에서 8월 261건으로 크게 줄었다가 9월 368건으로 늘었다.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임대사업자로 등록한 다주택자에게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을 당초 이번 주거복지 로드맵 발표 때 공개하려다 다음달로 미루면서 주택 매도자들의 관망세가 확대되고 있다”며 “이로 인해 거래 최근 거래가 위축되는 분위기이긴 하지만 8·2 대책 직후에 비해서는 거래량이 늘었을 것”이라고 말했다.박민규 기자 yushin@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박민규 기자 yushi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