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낙규의 Defence Club]미국의 MD- ①언제부터 시작됐나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미국이 최근 사드 등 미사일방어(MD)체계 대한 홍보와 신뢰섞인 어조를 쏟아내고 있다. 왜 일까. 군사전문가들은 미국이 지난달에만 사드 요격시험을 두차례나 실시하고 대내적으로 요격성공을 알리는 것은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등 도발을 의식한 것이란 분석을 내놓고 있다. 북한이 미사일도발을 이어갈때마다 한ㆍ미ㆍ일은 밀착 안보 공조를 이어가고 있는 반면 중국ㆍ러시아와의 의견 차도 두드러지면서 한미일 군사력을 과시하려는 외교적인 압박이라는 것이다. 빈센트 브룩스 주한미군사령관도 지난 2일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ㆍ사드)가 북한 탄도미사일을 요격할 능력이 있다며 사드의 방공 능력에 대해 강한 신뢰를 드러냈다. 브룩스 사령관은 이날 주한미군사령부 웹사이트 게시문에서 미국이 최근 사드 요격시험에 성공한 데 대해 "사드의 이번 중거리탄도미사일(MRBM) 요격시험은 이전 중장거리탄도미사일(IRBM) 요격시험과 함께 성주에 배치된 사드 체계의 북한 위협 격퇴 능력에 대한 나의 신뢰를 강화해줬다"고 밝혔다. 그렇다면 미국의 MD는 언제부터 시작됐을까. MD체계를 이해하려면 탄도미사일의 역사를 알아야 한다. 탄도미사일이 처음 개발한 것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군이다. 당시 탄도미사일 V-2는 인류 최초의 탄도미사일로 연합군의 전략기획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V계열 무기가 존재한다는 사실 만으로도 연합군은 큰 충격을 받았다. 최대 비행속도가 시속 5,760㎞, 목표에 충돌하기 직전의 속도 역시 시속 2,880㎞에 달하는 이 로켓을 막아낼 수단이 전무했기 때문이다. 독일군은 1944년 9월 펭귄작전이 시작된 이후 9개월 동안 런던과 안트베르펜 등을 향해 약 6000발을 발사했다. 이로 인해 약 3만 7000채의 주택이 완파됐고 150만 채의 주택이 손상됐다. 또 약 9000명이 사망하고 2만5000명이 부상당했다. 많은 역사가들은 지금까지도 V-2가 실패한 무기였다고 비판하지만 당시 상황에서 V-2만큼 위력적인 무기는 없었다.V-2는 20세기 후반 미국과 소련의 미사일 개발로 이어졌다. 이에 따라 양국은 V-2로켓과 독일 기술자들을 자국으로 데려가 탄도미사일 개발에 열을 올렸다. 이렇게 해서 구소련은 1957년, 그리고 미국은 1959년에 각각 ICBM 실전배치에 성공했다. 하지만 ICBM은 곧 골칫거리로 전락한다. 서로 상대방의 ICBM을 방어할 능력이 없었기 때문이다. 고심끝에 미국이 먼저 개발한 것이 최초의 탄도탄 요격미사일(ABM) 나이키 허큘리스다. 이후 스파르탄ㆍ스프린트ㆍ보마크 등의 ABM을 실전배치했다. 구소련도 1960년대에 걸라슈 요격미사일을 도입, 미국의 탄도미사일 위협에 맞섰다. 확실한 요격 성공률을 보장받기 위해 양국은 핵탄두를 탑재하기도 한다. 핵탄두를 장착해 탄도미사일 근처에서 폭발시키면 완파는 못해도 최소한 비행방향을 바꿀 수 있기 때문이었다. 1969년부터는 잠시 소강상태로 진입한다. 미국과 구소련이 전략무기제한협정(SALT)을 맺고 탄도미사일 및 탄도탄 요격미사일 보유수량 제한에 합의한 것이다.요격시스템에 불을 다시 붙인 것은 미국의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다. '강한 미국'을 주창한 레이건 대통령이 1983년 일명 적의 핵, 생화학 탄두탑재 미사일을 우주에서 요격해 파괴한다는 '전략방위구상(SDI)'을 발표한다. 일명 스타워즈로 불린 방어계획이다. 이후 조지 부시 행정부에서 전지구적제한공격방어계획(GPALS), 빌 클린턴 행정부에서 전역미사일방어(TMD) 및 국가미사일방어(NMD) 계획등으로 명칭이바뀐 뒤 조지 W. 부시 행정부에서 다시 미사일방어(MD)계획으로 이름이 변경됐다. 부시 행정부에서 미사일방어(MD)계획으로 명칭이 다시 변경된 뒤 당초 2007년 실전배치를 목표로 했다. 부시 대통령은 2000년 대통령 선거에서 MD체제 개발을 공약으로 내걸었으며 미국은 이를 위해 미사일방어체제 개발 및 배치를 금지한 탄도탄요격미사일협정(ABM)에서 지난 6월 탈퇴했다. 그러나 중국 등은 이 체제가 결국 대만의 방위에 사용된다고 우려하며 이 체제가 세계의 군비경쟁을 유발한다고 비난해 왔다. 양낙규 기자 if@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부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