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자리 위협하는 AI]일자리냐 미래車냐…현대차의 딜레마

4차 산업혁명시대, 전기·자율주행차 등 개발 속도엔진·변속기 등 부품 줄어드는 미래차대규모 생산인력 축소 불가피노사합심 대책위 구성 운영 주목
[아시아경제 이정민 기자] 현대차 경영진이 고민에 빠졌다. 안 하면 뒤쳐지고, 하자니 적지 않은 반발이 예상된다. 친환경, 자율주행으로 대표되는 미래 자동차 개발을 놓고 하는 이야기다. 현재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은 전기차, 자율주행차, 인공지능차 등을 개발하며 4차 산업시대를 준비하고 있다. 현대차 역시 마찬가지다. 다만 현대차가 미래 먹거리 개발에 제속도를 내려면 해결해야 하는 것이 있다. 노조와 합의점 찾기다.  ◆일자리 지켜달라는 노조=올해 노조는 회사와 단체교섭에서 '총고용보장' 안건을 제시했다. 4차 산업시대가 와도 일자리를 보장해달라는 것이다. 노조는 "인공지능과 자동화, 디지털 플랫폼 등 노동의 공간과 시간적 제약을 없애는 4차 산업혁명은 다양한 형태의 고용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향후 조합원의 고용안정 대책 마련을 위한 것"이라고 취지를 설명했다. 현대차 노조의 실업 우려는 이 시대 모든 노동자가 맞이한 당연한 문제다. 현대차 뿐만 아니라 글로벌 업체들도 걱정이 태산이다. 최근 순수 전기차를 출시한 한국GM의 관계자는 "일자리 문제는 어느 나라, 어느 업체든지 최대의 관심사다. 미국 GM 본사 노조가 현대차 노조만큼 강성 조직은 아니지만 일자리 문제에 있어선 목소리를 낸다"고 말했다.  

[사진출처=게티이미지뱅크]

전문가들은 4차 산업시대가 오면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게 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최근 세계경제연구원이 주최한 4차 산업시대 포럼에서도 이같은 의견이 나왔다. 조너선 워첼 맥킨지 글로벌연구소(MGI) 소장은 "MGI가 각 직업군을 18가지 역량, 7가지 활동영역으로 분석한 결과 자동화의 영향을 받는 직업 영역은 100%로 나타났다"며 "직종별로 구별하면 현재 일자리의 5%는 100% 자동화가 가능하고 일자리 60%는 30% 정도 자동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기술과 경제적 측면을 고려하면 2050년까지는 100% 자동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실업자가 될 수 있다"고 비관적인 전망을 덧붙였다.  우려는 세계경제포럼(WEF)에서도 제시됐다. 오는 2020년까지 일자리 710만개가 4차 산업혁명 여파로 사라질 것이란 설명이다. 같은 기간 새롭게 생기는 일자리는 210만개에 불과하다. 
◆노조 일자리 정말 줄어들까=일자리는 줄어들까. 속단하긴 힘들지만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줄어들지 안그럴지 중요한 게 아니라 언제부터 줄어들지가 문제란 목소리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엔진ㆍ변속기를 만드는 직원들이 가장 걱정할 상황"이라고 말했다. 전기차와 자율주행차의 경우 일반 내연 기관차 대비 들어가는 부품의 수가 적다는 설명이다. 김 교수는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의 부품 수가 3만개 정도인데 전기차의 부품 수는 그 반 정도인 1만개 수준이다. 내연 기관차는 엔진 주변 부품만 1만개에 이르지만 전기차는 수십가지 정도로 간략하다. 전기차는 엔진도 변속기도 없다"고 말했다. 부품이 줄다보니 생산 인력도 많이 필요하지 않은 것이다. 현대차 울산공장에는 총 3만명 가량이 근무한다. 이중 엔진ㆍ변속기 담당 직원들은 16% 정도된다. 전기차 생산 체제가 되면 당장 5000명 가량의 직원들이 실업을 걱정해야 하는 처지가 된다.  아산ㆍ전주 공장, 기아차 직원을 포함하고 엔진ㆍ변속기를 만드는 현대모비스 등 계열사도 상황은 비슷하다. 여기에 회사가 총력을 쏟고 있는 자율주행차 개발도 고려해야 한다. 미국에서는 자율주행차가 상용화되면 350만명의 트럭운전기사들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을 내놨다. 이는 곧 자동차를 생산하는 직원들의 자리도 위협 받을 수 있다는 경고의 메시지다.  ◆미래차, 당연히 가야할 길='미래 기술 전문가'로 불리는 차두원 한국과학기술평가원 연구위원은 "막연한 비관론은 지양해야 한다"고 말한다. 인공지능 이전에도 일자리 문제는 항상 존재했다는 설명이다. 그는 "산업혁명 당시 러다이트 운동을 불렀던 방직기계, 증기기관, 자동차, 비행기, 퍼스널컴퓨터, 인터넷 등은 모두 해당 시대의 잡킬러였다"며 "인공지능과 로봇 등 첨단기술과 인간의 역할분담이 자연스럽게 진행되기 시작한 시점에서는 막연한 비관론보다는 빠르게 변화하는 현실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 교수도 비슷한 입장이다. 그는 "미래차 개발은 당연히 굴러가야 하는 것이다. 전체 직원 수는 균형을 맞추게 돼 있다"며 "부품을 만드는 직원들이 줄더라도 전기차 라인업이 늘면 차가 많이 팔려 그만큼 충원할 수밖에 없다. 생산 과정에서도 보면 최종 조립 과정은 사람 손이 반드시 필요해 자동화 기기가 대체할 수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차 노사가 이런 변화에 공감하고 '친환경차 관련 노사대책위원회'를 구성한 것은 주목할 만하다. 당초 노사는 친환경차 노사공동연구위원회를 꾸려 운영했지만 미래 자동차 시대가 급진적으로 다가오면서 이를 대책위로 격상해 올해부터 운영을 시작했다. 대책위는 회사와 노조 각각 8명, 총 16명으로 구성됐다. 대책위 내 연구인력은 친환경차 부품 생산 공장, 충주 모비스 공장을 방문하는 등 관련 문제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머리를 맞대고 있다. 더불어 노사는 전기차 같은 친환경차의 국내 생산량이 10만대를 초과할 경우 연구분과와 현장분과위를 구성하겠다는 구체적 목표도 세웠다. 현대차 관계자는 "일자리 문제는 노조의 문제만도 아니고 회사의 문제만도 아니다. 서로 협력해야 풀리는 문제"라며 "글로벌 기업 위상에 맞게 노사가 합심해 어려움을 극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민 기자 ljm1011@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이정민 기자 ljm101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