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유인호 기자]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 내정자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 내정자가 박근혜 전 대통령 그림자 지우기에 나섰다. 신한금융은 박 전 대통령의 핵심 금융과제였던 '창조금융'의 일환으로 금융권에서 유일하게 '창조금융플라자'를 설립, 운영중이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조 회장 내정자는 최근 신한 창조금융플라자에서 창조금융을 지우는 등 운영 방안을 원점에서 재검토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창조금융플라자의 원래 명칭은 CIB(기업투자금융) 사업부문이다. CIB는 한동우 회장이 2011년 취임하면서 중점 사업으로 출범시킨 사업부문이다. CIB는 중소 및 중견기업을 중점 지원하겠다는 한 회장의 의지가 담겨 있다. CIB는 2015년 4월 돌연 명칭을 변경했다. 중소ㆍ중견기업에 대한 종합적인 투자금융지원이라는 명분으로 간판을 신한창조금융플라자로 바꿨다. 당시 박 전 대통령의 핵심과제인 창조경제, 창조금융 정책코드에 맞춘 것이다. 신한지주 측은 신한창조금융플라자 설립 배경에 대해 "계열사인 신한은행의 기업금융지점에 증권사인 신한금융투자의 투자금융전문가를 배치해 은행의 기업금융경쟁력과 신한금투의 자본시장 전문성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기업금융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전 대통령의 창조금융 정책과는 관련이 없다는 얘기다. 신한창조금융플라자 확대를 위해 한 회장의 핵심 측근 인사가 배치되기도 했다. 김형진 당시 신한지주 부사장(현 신한금투 사장)이 창조금융플라자 설립을 주도했으며, 신한은행 부행장과 신한금투 부사장이 집행임원을 맡도록 겸직했다. 이 과정에서 신한금융은 2015년 1월 금융지주회사법상 자회사간 임직원 겸직 관련 규제를 완화하는 시행령 개정 시점에 맞춰 두 계열사의 부사장이 신한창조금융플라자를 맡도록 했다. 신한금융은 지난해 최순실 게이트가 본격적으로 불거진 이후 창조금융플라자에 대한 신규 출점을 중단한 상태다. 지난해 8월 경기 안양 평촌역 창조금융플라자 14호점을 끝으로 더이상 창조금융플라자를 개점하지 않고 있다. 업계에서는 최순실 게이트 이후 박 전 대통령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되면서 이와 연관된 창조금융플라자 확대가 신한금융 입장에서는 부담스러웠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신한금융 내부에서도 창조금융플라자에 대한 비판적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 금융당국 뿐만 아니라 재계에서도 창조경제, 창조금융 등 현 정부 색채지우기에 나선 상황에서 불필요한 오해를 살 필요가 없다는 이유에서다. 더구나 신한창조금융플라자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기술신용대출(기술금융) 실적은 이미 감소세로 돌아섰다. 신한은행의 기술신용대출 실적은 지난해 12월 말 기준으로 전달 보다 무려 7435억원이나 감소, 전체 은행권중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조 회장 내정자가 신한창조금융플라자의 운영방안을 원점에서 재검토하라는 지시를 내린 이유이기도 하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신한창조금융플라자는 지주에서 전략적으로 추진한 사업으로, 계열사들이 참여하고 있지만 사업 실효성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문제는 없다"며"조 내정자가 재검토 지시 등을 내린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유인호 기자 sinryu007@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유인호 기자 sinryu007@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