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진행동, '특검 감시' TF 꾸린다

박영수 특검팀은 21일 오전 9시 서울 강남구 대치동 사무실에서 현판식을 갖고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한다. 박 특검은 "국민의 뜻을 잘 읽고, 법과 원칙에 따라서 어느 한 쪽에 치우침이 없이 올바른 수사를 하도록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아시아경제 문제원 기자] 최순실게이트를 수사 중인 박영수(64) 특별검사팀이 21일 오전 현판식을 열고 국민연금을 압수수색 하는 등 본격 수사에 착수함에 따라 시민사회단체들도 '특검대응 태스크포스(TF)' 준비에 속도를 올리고 있다.1500여개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한 '박근혜정권퇴진 비상국민행동(퇴진행동)'은 특검의 전방위적이고 철저한 수사를 감시하기 위해 이르면 이번 주 특검대응 TF를 가동할 계획이다.퇴진행동 법률팀장을 맡고 있는 권영국(53) 변호사는 "(TF팀은) 퇴진행동 법률팀을 중심으로 해서 대응할 계획"이라며 "특검이 검찰에서 미진한 부분에 대해 어떻게 원칙적으로 수사하고, 또 수사권을 제대로 발휘할 것인지에 초점을 두겠다"고 말했다. 권 변호사는 이어 "(특검이) 잘못된 건 비판하기도 하고 특검에 의견도 전달도 하겠다"며 "TF는 이번 주에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퇴진행동이 그동안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시민들과 활발히 소통을 해 온 만큼 특검대응 TF의 감시 결과도 SNS를 통해 실시간 공유할 것으로 보인다.앞서 퇴진행동은 박영수 특검팀에 지속적인 우려를 표명해왔다. 박 특검이 대검 중수부장과 서울고검장을 지낸 검찰 고위직 출신으로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 최재경 청와대 민정수석 등과 인연이 있고, 지난해 황교안 국무총리 인사청문회도 출석해 황 총리를 옹호한 적이 있다는 일부의 지적 때문이다.퇴진행동측은 검찰의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수사의 미비점을 지적하며 특검이 반드시 규명해야 할 의혹과 수사대상도 발표했다.검찰의 수사에 대해서는 "촛불집회의 규모가 커지고 검찰의 미진한 수사를 규탄하는 여론이 형성되고 나서야 언론이 제기한 의혹들을 따라가기에 급급한 모습을 보였다"며 "진상규명을 위한 핵심고리인 박근혜 대통령의 대면조사에 실패하고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에 대한 조사도 전혀 진행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이어 "우 전 수석은 검찰 특별수사팀 구성 75일만에야 늑장 소환됐고 이마저도 우 전 수석이 팔짱을 끼고 여유 있는 표정으로 검찰 직원들과 이야기 하는 모습이 보도되면서 '황제소환' 논란을 일으켰다"며 "정경유착 가능성이 높은 기업총수들도 참고인 수준으로 비공개 조사한 것은 특혜"라고 규탄했다. 퇴진행동은 박영수 특검팀이 규명해야 할 의혹으로 ▲김 전 비서실장과 우 전 수석의 국정농단 방조ㆍ공조 의혹 ▲박 대통령과 재벌 간의 정경유착(뇌물죄) ▲세월호 참사 당일 대통령의 직무유기와 책임을 은폐하려한 황 총리 수사를 꼽았다.퇴진행동 측은 "무엇보다 '피의자' 박 대통령의 소환조사를 신속히 진행해야 한다"며 "특검은 기존 검찰 수사를 반면교사로 삼아 성역 없이 수사해 진상을 밝히고 책임에 따른 처벌을 해야 한다"고 했다.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