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제1회 한국스타트업포럼 개최…주요 기업 CEO 등 300여명 성황같은 날 개막한 '발길 뚝' 창조경제박람회와 미묘한 대조20여명 법률·특허 전문가로 지원단 구성…핀테크 등 규제 완화 활동
김봉진 코리아스타트업포럼 의장이 12월 1일 열린 제1회 스타트업포럼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아시아경제 강희종 기자]박근혜 정부의 최대 치적인 창조경제의 성과를 공유하는 창조경제박람회 개막 날 정작 주요 스타트업 기업들은 따로 모여 정부에 날선 비판들을 이어갔다.국내 주요 스타트업들이 참여하고 있는 코리아스타트업포럼(의장 김봉진)은 지난 1일 오후 2시부터 6시까지 서울 논현동에 위치한 파티오나인에서 제1회 스타트업포럼을 개최했다.지난 9월 발족한 코리아스타트업포럼은 스타트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생태계 발전을 지원하고 공동의 이익을 대변하기 위해 스타트업 기업들로 구성된 포럼이다. 우아한형제들, 야놀자, 비네이티브, 한국NFC, 이음, 온오프믹스 등이 주도하고 있으며 70여개사가 참여하고 있다. 이날 행사는 포럼 발족 후 첫번째 열린 것이다.제1회 스타트업포럼은 공교롭게도 창조경제박람회 개막과 겹쳐 미묘한 대조를 이루었다. 창조경제박람회가 최근 불거진 최순실 사태와 맞물리며 관람객의 발길이 뜸해진 반면 스타트업포럼은 주요 300여개의 좌석이 꽉 차며 성황을 이루었다.이날 행사에 참석했던 한 스타트업 관계자는 "코리아스타트업포럼에 주요 기업들이 잇따라 동참하면서 스타트업의 구심점이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창업 2년 만에 '핀다르크' 별명"…정부 규제 성토=창조경제박람회가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 성과를 자화자찬하는 자리였다면 같은 시간 열린 스타트업포럼에서는 아직도 꽉 막힌 정부의 규제 현실에 대한 성토가 이어졌다.핀테크 분야 스타트업인 8퍼센트의 이효진 대표는 "서비스 시작 한 달 만에 사이트가 폐쇄되는 어려움을 겪었다"며 "2년 후에는 규제 불확실성이 해소되겠지 했는데 전혀 개선되지 않았으며 나는 어느새 '핀다르크(핀테크+잔다르크)'라는 별명을 얻게 됐다"고 하소연했다.황승익 한국NFC대표는 "주민등록번호 기반의 본인인증제도로 인해 국내 벤처기업들이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글로벌 서비스를 제대로 만들지 못하고 있다"며 "1000개가 넘는 법조항 때문에 주민번호와 연계되지 않는 본인인증제도를 찾기 어렵다"고 토로했다.한 스타트업 대표는 "우리나라에서 창업하기 위해서는 기술이나 서비스 전문가가 되기 전에 법률 전문가가 되어야 하는 게 현실"이라고 비꼬았다.코리아스타트업포럼은 핀테크 등의 규제 개선을 위해 그동안 청와대 미래전략수석 및 관련 부처와 두차례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김봉진 코리아스타트업포럼 의장(우아한형제들 대표)은 "당분간 포럼은 P2P 대출과 관련한 규제 완화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구태언 테크앤로 변호사가 12월1일 열린 제1회 스타트업포럼에서 발표하고 있다.
창업 과정에서의 규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코리아스타트업포럼은 구태언 태크앤로 변호사 등 21명의 법률 및 특허 전문가들로 이루어진 '법률/특허지원 자문단'을 구성했다.구태언 변호사는 이날 "국내 법제도가 디지털경제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기업가들이 혁신을 하는데 정부가 발목을 잡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며 "앞으로 5년간 계속 이런 일이 지속된다면 경쟁력을 회복할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혁신적 스타트업이 한국 경제 성장 원동력될 것"=이날 행사에는 한킴 알토스벤처스 대표, 문규학 소프트뱅크벤처스 대표, 이범석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상무 등 벤처캐피탈(VC) 업계 전문가들도 참석해 향후 투자 방향 등에 대해서도 설명했다.한킴 대표는 "올해 8개 한국 스타트업에 투자했으며 내년에는 올해보다 더 늘리면 늘렸지 줄이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규학 대표는 "올해 500억원 정도를 투자했는데 한국의 벤처 생태계는 이제 정점을 찍은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이날 포럼에서는 윤문진 허니비즈(띵똥) 대표, 김민석 스마트스터디 대표, 김한균 코스토리 대표가 참석해 성장 비결과 전략을 공유했다.김봉진 의장은 "미국, 중국은 스타트업들이 국가 경제를 이끌고 있으며 한국도 스타트업들의 지속적인 혁신이 성장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며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도록 앞으로 회원사 규모를 늘려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