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갤럭시 성적표', 노트7 리콜여파 반영…'연말 총력'

갤럭시노트7

[아시아경제 김유리 기자] 삼성전자가 '갤럭시노트7 리콜 여파'가 반영된 올해 3분기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시장의 예상에 부합하는 수준이다. 업계는 갤럭시노트7의 본격적인 재판매가 시작된 가운데 연말 성수기를 맞는 4분기 성적이 갤럭시의 1년 실적을 가를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삼성전자는 7일 올해 3분기 연결기준 잠정 실적이 매출액 49조원, 영업이익 7조8000억원이라고 발표했다. 전년동기대비 매출은 5.19%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5.55% 증가했다. 시장 컨세서스(추정치)와도 유사하다. 컨센서스 대비로는 매출액(50조6113억원)은 소폭 적고, 영업이익(7조4393억원)은 소폭 많은 수치다.이 가운데 스마트폰 사업이 포함된 IT·모바일(IM) 부문의 매출액은 23조7000억~24조4000억원, 영업이익은 2조2000억~2조3000억원 수준으로 예상됐다. 실적이 주춤한 데는 갤럭시노트7의 배터리 결함에 따른 리콜 영향이 컸다. 삼성전자 IM 부문은 지난 3월 출시된 '갤럭시S7'이 글로벌 시장에서 기대를 뛰어넘는 판매 성적을 기록하면서 상반기 '어닝 서프라이즈'에 큰 보탬이 됐다. 올해 1, 2분기 IM 부문의 영업이익은 각각 3조8830억원, 4조3240억원으로 승승장구 했다. 이에 삼성전자는 8월 출시될 갤럭시노트5의 후속작을 갤럭시노트6로 명명하지 않고 상반기 히트작인 갤럭시S7과의 통일성을 강조, 갤럭시노트7으로 확정하면서 대대적인 마케팅 계획도 세워뒀다. 그러나 제품 출시 후 예기치않은 배터리 결함으로 리콜을 단행하면서 실적 오름세는 한풀 꺾이게 됐다. 업계에서는 갤럭시노트7이 3분기 리콜에 따른 직접적인 비용 증가와 리콜 기간 동안 판매 중단 등 매출 손실에 따른 기회비용을 포함, 약 1조6000억원의 부정적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했다. 3분기 갤럭시노트7의 출하량은 리콜 이슈로 10여개국 초도 출하량 250만대 수준에 그쳤다. 4분기 역시 공은 갤럭시노트7에 있다. 현재 한국, 미국 등 대부분의 국가에서 갤럭시노트7의 신제품 교환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 업계에서는 본격적인 재판매 시작되면서 연말 성수기를 맞는 4분기 성적표가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4분기는 모바일 정보기술(IT) 업체들의 최대 성수기이자, 삼성전자로서는 갤럭시노트7을 비롯해 삼성 모바일 제품 전반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시기이기도 하다. 따라서 갤럭시노트7 안정화 여부가 스마트폰 성적표의 핵심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시장에서는 배터리 결함으로 인한 영향은 단기적으로는 부정적이겠지만, 중장기적으로 큰 변수는 아닐 것으로 판단했다. 갤럭시노트7의 4분기 글로벌 출하량은 600만대 가량으로 예상됐다. IM 부문의 영업이익도 2조6000억~2조7000억원대로 회복할 것으로 전망됐다.삼성전자 역시 이달부터 대대적으로 갤럭시노트7 마케팅을 재개하는 등 이미지 회복에 힘을 쏟고 있다. 삼성전자는 최근 국내 대형 쇼핑몰, 극장가, 대학가, 주요 축제 현장 등 소비자들이 즐겨 찾는 공간에 대규모 체험존 운영을 재개했다. 지난 1일부터는 일상생활에서 홍채인식 기능으로 삼성페이를 사용하는 내용으로 구성된 갤럭시노트7 신규 TV 광고도 시작했다. 이날부터는 갤럭시노트7 블랙 오닉스도 국내 시장에서 판매된다. 블루 코랄, 골드 플래티넘, 실버 티타늄에 이어 네 번째로 선보이는 새 컬러로 소비자들의 시선을 끈다는 전략이다. 갤럭시노트7의 안전성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는 한편, 차세대 제품에서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경쟁력 강화에도 힘을 쏟고 있다. 전날 발표한 미국 실리콘 밸리 소재 인공지능(AI) 플랫폼 개발 기업 비브 랩스 인수가 그 예다. 삼성전자는 비브 인수를 통해 스마트폰을 포함한 모든 기기와 서비스를 하나로 연결, 애플·구글 등에 대적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개방형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노근창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갤럭시노트7 리콜 사태가 삼성 스마트폰 브랜드 이미지에 얼마만큼 영향을 줬는지 판단은 내년 1분기에 출시될 갤럭시S8 판매 성과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유리 기자 yr61@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김유리 기자 yr6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