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낙규기자의 Defence]북 SLBM 기술보강 VS 다급해진 우리 군 방어대책

북한 조선중앙TV는 8일 북한이 작년 12월 동해에서 실시한 것으로 보이는 SLBM 사출시험 영상을 공개했다.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북한이 24일 잠수함탄도미사일(SLBM)을 시험발사했다. 비행거리만 500여㎞에 달해 남한 전역을 타격권에 넣을 수 있어 기술적으로 큰 진전을 이룬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북한은 오전 5시 30분께 함경남도 신포 인근 해상에서 SLBM 1발을 동해상으로 시험발사했으며 기술이 진전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7시30분 청와대는 김관진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개최하고 북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발사 대책을 논의했다. 지난달 9일과 4월 23일 발사했던 SLBM이 각각 10여㎞, 30여㎞를 비행한 다음 공중에서 폭발한 것과 비교하면 예상했던 것보다 빠르게진전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잠수함은 수중에서 은밀하게 기동하는 전략무기이기 때문에 쉽게 탐지하기가 어렵다. 북한 잠수함이 북방한계선(NLL) 이북 해상에서 SLBM을 발사하면 이제 남한 전역을 타격할 수 있다. 이때문에 북한의 잠수함을 방어할 수 있는 지상 킬체인 뿐 아니라 '수중 킬체인'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킬체인은 북한 미사일 발사 징후부터 발사시 파괴까지 일련의 작전개념을 뜻으로 오는 2020년대 초반까지 구축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미사일기지 움직임을 실시간 탐지해 기종과 위치를 식별해야 하기 때문에 우선 북한의후방지역까지 들여다볼 수 있는 감시ㆍ정찰자산을 갖춰야 한다. 이를 위해 국방부는 2022년까지 감시ㆍ정찰 기능을 갖춘 다목적 실용위성 5기를확보할 계획이다. 도입하기로 한 정찰위성은 500kg에 못미치는 중형급 위성이다. 이때문에 합성개구레이더(SAR)와 전자광학ㆍ적외선장비(EO/IR)를 나눠 탑재하기로 했다. 그동안 우리 군은 무수단 중거리미사일 등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미군의 최첨단 정찰위성에 의존해야만 했다. 하지만 북한을 둘러싼 정치적 이해가 상충되거나 영상정보가 유출됐다는 이유로 의견충돌이 잦았다. 도입하기로 한 정찰위성은 500kg이 안 되는 중형급 위성이다. 다목적 실용위성도 추가로 발사된다. 타격 수단으로는 사거리 500~800㎞의 지대지 탄도미사일과 사거리 600㎞인 장거리 공대지 유도탄(타우러스급), 중거리 공대지 유도폭탄(JDAM급) 등의 자체 개발과 국외 구매가 추진되고 있다. '수중 킬체인'은 북한 잠수함이 동해안 신포나 원산, 마양도, 퇴조 등의 잠수함 기지에서 출항할 때부터 수중에서 은밀하게 기동하는 단계까지 추적 감시해 유사시 이를 격침하는 전략까지를 말한다.일각에서는 북한이 SLBM 12발을 탑재할 수 있는 핵추진 잠수함 건조계획을 수립했을 가능성이 제기됨에 따라 우리 군도 핵추진 잠수함을 건조해 이에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문근식 한국국방안보포럼 대외협력국장은 "북한이 SLBM 발사를 사실상 성공함에 따라 1976년부터 잠수함을 건조한 기술을 바탕으로 잠수함 추가 건조 계획을 세울 것"이라며 "전 세계적으로 수직발사대 12개를 장착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잠수함은 중국의 6500톤급이기 때문에 이 이상의 잠수함이나 수직발사대 1개를 장착하는 2000톤 신포급 잠수함을 여러척 건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우리 군의 대비계획도 이제는 전면적으로 바뀌어야 할 것"이라며 "한국도 핵잠수함을 건조해 북한의 SLBM 탑재 잠수함을 출항할 때부터 감시해 유사시 이를 쏘지 못하도록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center><div class="slide_frame"><input type="hidden" id="slideIframeId" value="2015091310335523404A">
</center>양낙규 기자 if@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