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노미란 기자] 중국 정부가 국내총생산(GDP) 산정 방식을 바꾸기 위해 고심 중이다. 일부에서는 저조한 경제성장률이 예상되는 중국이 꼼수를 부려 GDP를 부풀리려는 것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4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쉬시엔춘 중국 국가통계국 부국장은 지난 주말 열린 한 콘퍼런스에서 공유경제 등과 같이 공짜로 공유경제서비스도 GDP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쉬 부국장은 "집이나 차, 주차공간, 책 등을 나눠쓰는 '공유경제'는 전통적인 통계 방식으로는 집계할 수 없다"며 이 부분을 GDP에 반영할 계획이라는 뜻을 밝혔다. 그는 "신성장 기업으로 꼽히는 디지털 산업은 주로 비현금거래를 통해 이뤄지기 때문에 GDP에 반영되지 않고 있다. 예를 들어 공유경제 웹사이트의 수익은 소비자가 서비스에 대해 지불하는 비용보다는 광고수익을 통해 얻어진다"고 분석했다. 쉬 부국장은 "친환경 에너지, 로봇,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등 공유 경제나 디지털 경제 영역이 철저히 무시되고 있어 이 부분을 GDP에 반영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같은 흐름을 반영해 중국 컨설팅그룹 CEBM은 최근 구인웹사이트의 광고 등 성장 여력이 큰 중소 혁신조직의 정보를 포함한 '신경제지수(New Economy Index)'를 공표했다. GDP가 주로 쇠퇴기를 걷는 대형기업을 대상으로 집계되고 있는 한계를 극복한다는 취지에서다. CEBM에 따르면 이 같은 중소 조직이 담당하는 경제활동이 전체의 3분의 1에 달한다. 일부에서는 오는 15일 GDP 발표를 앞둔 중국 정부가 경제성장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꼼수를 부리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짐 워커 아시아노믹스 최고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에서는 현재 연간 경제성장률이 6% 밑으로 떨어지면 안 된다는 강박이 지배하고 있다"며 "점차 하락하고 있는 성장률을 새로운 요소를 편입하는 방법으로 만회하려는 것"이라고 비꼬았다. 중국 정부는 지난 2005년에도 서비스업종을 GDP 산정에 포함하는 방식으로 변경하는 방법을 통해 단 번에 GDP가 3000억달러 급증하는 효과를 거둔 바 있다.노미란 기자 asiaroh@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노미란 기자 asiaro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