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김대섭 기자] # 서울시 송파구에 사는 직장인 정 모씨는 요즘 신차 구입 때문에 고민이 생겼다. 8년 전 구입한 경유(디젤)차를 신차로 바꾸려했지만 최근 들어 디젤차가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손가락질을 받는 모습을 보고 마음이 편하지 않다. 연비도 좋고 연료비도 저렴해 구입했던 디젤차에 만족도가 매우 높았던 터라 이번에도 동일 연료를 사용하는 신차로 사려했지만 선뜻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미세먼지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과 우려가 높아지면서 디젤차가 뭇매를 맞고 있다. 미세먼지는 대부분 자동차의 배기가스와 도로 주행과정에서 나오는 먼지에서 발생하는데 디젤차가 그 원인물질인 질소산화물을 과대 배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기 중 부유 물질인 미세먼지에 대한 노출은 호흡기와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과 관련이 있으며 사망률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수도권의 경우 질소산화물 배출량의 67.7%가 수송부분에서 발생하고 이중 76%는 디젤차에서 발생하고 있다. 정부는 디젤차의 질소산화물 배출을 줄이기 위해 배출허용기준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왔지만 실도로 조건에서 저감되는 양은 기대보다 미흡했다. 디젤차 대부분이 배출 허용기준치 보다 많게는 20배 넘게 질소산화물을 배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립환경과학원의 분석 결과로는 수도권 미세먼지의 40%가 디젤차에서 발생한다. 이에 따라 정부는 디젤차에 대해 예전 보다 더욱 강력한 배출가스 저감 정책과 관리감독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 배출가스에 의한 환경오염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디젤차 때리기가 너무 과도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질소산화물에만 초점을 맞춰 환경오염 문제를 디젤차 배출가스로 몰아가는 듯한 모습 때문이다. 예컨대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의 경우는 휘발유(가솔린)차가 디젤차 보다 배출량이 많다. 가솔린차가 디젤차 보다 30% 정도 많이 배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럼에도 정부가 대기오염과 관련해 최근 보여준 모습은 디젤차 때리기에만 집중됐다. 그동안 정부가 디젤차 수요를 늘리는 정책을 추진했고 이에 힘입어 지난해 디젤 승용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솔린차를 앞선 상황에서 소비자들에게 혼란을 줄만하다. 정부는 최근 관계부처 장관회의를 개최해 '미세먼지 관리 특별대책'을 확정 발표했다. 디젤차의 질소산화물 인증기준을 강화하는 등 주요 배출원들에 대한 대폭적인 미세먼지 감축을 추진하고 친환경차 보급을 대폭 확대해 2020년까지 신차 판매의 30%를 전기차 등 친환경차로 대체할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미세먼지 감축에 적극 나서고 친환경차 보급을 대폭 확대하는 것은 바람직한 방향"이라며 "그러나 이 과정에서 디젤차 구매 고객들이 불합리한 피해를 봐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김대섭 기자 joas11@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김대섭 기자 joas1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