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수출 좋았다면 올해 성장률 4% 가까이 됐을 것'(종합)

'우리 노력만으론 세계 교역량 감소 극복 어려웠다..제대증 받았지만 제대 못한 말년병장 심정'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캐리커쳐(아시아경제 DB)

[아시아경제 오종탁 기자]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총선 출마를 위해 당으로 복귀하기에 앞서 "수출이 조금만 받쳐줬다면 올해 경제성장률이 3%대 후반이 됐을 것"이라며 "이런 가운데서도 고군분투했다"고 지난 1년5개월의 소회를 전했다. 최 부총리는 10일 출입기자단 송년간담회에서 "수출이 올해 성장률을 약 1% 까먹게 생겼다"면서 "전 세계적인 교역량 감소를 우리 스스로의 (경제 활성화) 노력 만으론 극복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며 이같이 말했다.최근 한국 경제는 소비 개선세에도 수출 부진이 생산·투자의 발목을 잡으며 저성장의 덫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모습이다. 이날 앞서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5월 제시한 3.0%에서 2.6%로 0.4%포인트 낮췄다. 내년 전망치도 3.1%에서 3.0%로 0.1%포인트 하향 조정했다.최 부총리는 "경제 파고를 넘기 위해 '지도에 없던 길을 가겠다'고 한 뒤 안 해본 게 없다"며 "특히 올해는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사태 등을 겪으며 전천후 소방수 역할을 요구 받았다"고 밝혔다. 지난해 7월 취임한 최 부총리는 박근혜 대통령의 전폭적인 신뢰 속에 한국 경제를 쥐락펴락했다. 최 부총리 한마디에 금융 정책과 부동산 정책, 금리가 움직였다. 최경환 경제팀은 출범 후 재정 보강으로 46조원을 썼고 올해 확장 재정으로 8조8000억원, 추가경정예산 및 재정 보강으로 21조7000억원을 더 쏟아부었다. 최 부총리는 박근혜정부의 공공·교육·금융·노동 등 4대 부문 개혁에도 앞장서며 '실세 부총리'로서 바쁘게 뛰었다. 그러나 성장률 등 주요 지표가 보여주듯 경제는 생각만큼 살아나지 않고 있다. 내수 부양책으로 지난 3분기 성장률을 6분기 만에 1%대로 끌어올렸지만, 더 이상의 성장 모멘텀은 보이지 않는다. 가계부채는 1200조원을 돌파하고 수출은 11개월 동안 마이너스 성장을 거듭했다. 교수 등 전문가들이 한국 경제를 '미증유의 위기'라고까지 진단하는 데 대해선 "과장 된 것"이라고 최 부총리는 잘라 말했다. 이어 "아주 객관적으로 보면 선방하고 있다"며 "한국이 미증유의 위기라면 세계에 그렇지 않은 나라가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최 부총리는 후임 부총리 인사와 관련해 "훌륭한 분이 오지 않겠느냐"며 "지금 제대증을 받았지만 제대를 못하고 있는 말년 병장 같은 심정"이라고 농담했다. 그러면서 건배사로 '원하는 것보다 더 잘 풀리는 대한민국 경제'라는 의미로 "원더풀"을 외쳤다.세종=오종탁 기자 tak@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오종탁 기자 tak@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