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구 획정, 내일 '끝장 담판'…與 '정개특위 연장 없다'

[아시아경제 김보경 기자] 내년 총선에 적용될 선거구 획정을 놓고 치열한 줄다리기를 벌이던 여야가 12일 만나 '끝장 담판'을 벌인다. 양당 대표, 원내대표가 만나는 이번 회동은 정의화 국회의장이 여야를 향해 '특단의 조치'까지 언급하며 강경 발언을 한 뒤 전격 결정됐다. 더군다나 정치개혁특위 여당 간사인 이학재 새누리당 의원은 "정개특위 활동기한 연장은 절대 반대"라는 입장을 밝혀 내일 회동을 통해 선거구 획정 문제를 매듭지을 수 있을 지 기대된다. 원유철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11일 원내대책회의에서 "12월15일 예비후보 등록일이 다음 주 화요일 코앞으로 다가와서 시간이 정말 없다"며 "내일은 새정치민주연합이 진지하게 회동에 임해주길 당부한다. 자당에 유리한 선거제도의 도입만을 전제와 조건으로 임하지 않기 바란다"고 말했다. 앞서 여야는 농어촌 지역구를 유지하기 위해 지역구 의석수를 7석 안팎으로 늘리고 비례대표 의석수를 줄이는 방안에 잠정합의를 이뤘다. 야당은 비례성 강화 방안의 일환으로 정개특위 위원장인 이병석 새누리당 의원이 제시한 '균형의석제'를 주장하고 있다. 균형의석제는 정당득표율의 50%를 의석수로 보장해주는 방식으로, 부분 연동형 비례대표제로도 불린다. 새누리당은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군소정당에 유리한 제도'라며 반대 의사를 고수하고 있다. 균형의석제가 도입되면 현행 병립형 비례대표제보다 군소정당이 비례대표 의석수를 더 많이 가져가 새누리당에 불리해지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이학재 의원은 "야권에 유리한 방식으로 비례대표제를 바꾸자는 건 새누리당의 과반의석을 무너뜨리고 자기 배만 채우겠다는 억지주장"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의원은 "내일 회동이 불발로 끝나면 비상한 수단을 강구할 수 밖에 없다"면서 "정개특위 연장은 절대 불가하고 반대한다"고 못을 박았다. 그러나 전날 정 의장이 "15일까지 선거구 획정 기준을 마련하지 않으면 특단의 조치를 취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해 주말 2+2 회동은 끝장 협상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새정치연합이 '비례대표 축소'를 받아들이면서 한 발 양보함에 따라 이번 협상은 새누리당의 부담이 더 클 것으로 보인다. 균형의석제를 도입하되 의석수에 반영되는 정당득표율을 더 줄이거나 양당의 이견이 거의 없는 석패율제 도입 문제도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