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화 SDR 편입의 의미와 향후 과제(종합)

[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국제통화기금(IMF) 이사회가 30일(현지시간) 위안화의 특별인출권(SDR) 기반통화(통화바스켓) 편입을 결정하면 위안화의 위상은 달러, 유로, 엔, 파운드와 함께 세계 5대 통화로 높아진다. 위안화의 신뢰도와 안정성이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는다는 얘기다. 저우샤오촨(周小川) 중국 인민은행 총재는 IMF 이사회의 결정을 앞두고 최근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기고에서 "위안화의 SDR 바스켓 편입은 중국이 추진하는 금융개혁에 중요한 한 획을 긋게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저우 총재는 "이를 토대로 5년 안에 위안화의 완전태환(주요 통화와 자유롭게 교환)과 자유로운 사용을 가능케 할 방침"이라고 약속하고 "2020년까지 세계 무역 결제액의 33% 이상이 위안화로 이뤄질 것"이라고 낙관했다.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 역시 위안화의 SDR 바스켓 편입이 위안화 자본계정 자유화의 단계적 추진을 지원하고 세계적으로 위안화의 사용을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했다. 그러나 외환시장에서는 위안화가 SDR 바스켓에 편입돼도 주요통화로 위상이 올라가는 상징적 의미만 가질 뿐 실질적으로 위안화 자산 수요가 증가하는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다는 시각이 많다. 위안화가 미국 달러 위주인 외환시장의 판도를 바꿀 '게임 체인저(Game Changer)'로 발전하지는 못할 것이란 얘기다.위안화 수요가 증가하기 위해서는 중국 경제 기초체력과 위안화의 안정적인 흐름이 뒷받침돼야 가능할 것이라는 진단이다. 중국은 경제 성장세가 주춤한데다 미국이 금리인상을 앞두고 있어 위안화의 약세도 각오해야 할 판이다. 위안화 약세는 위안화 수요 부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 IMF가 위안화를 SDR 바스켓에 편입하더라도 구성통화 비중을 어떻게 결정하느냐도 지켜봐야 할 대목이다. 국제 금융시장에서는 위안화 편입 초기 14~16%의 구성통화 비중을 차지하게 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10%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도 확산되고 있다. IMF가 위안화를 SDR 바스켓에 포함시키더라도 중국 정부는 스스로 그 당위성을 증명하고 시장의 신뢰성을 확보해야 하는 숙제를 받게 된다. 베이징(北京) 내 외교가에서는 위안화의 SDR 바스켓 편입이 상당히 정치적인 결정이라는 의견이 많다. 편입 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중국 정부가 IMF 회원국들의 지지를 이끌어내기 위해 전방위적인 로비를 펼쳐온 결과라는 뜻이다. 실제로 폭넓은 쓰임 면에서 위안화는 SDR 바스켓에 포함돼 있지 않은 호주 달러, 캐나다 달러 수준에도 못 미친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 타임스(FT)가 중국과 위안화가 세계 무역에서 상당한 역할과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SDR 바스켓에 편입될 만큼 위안화의 쓰임이 전 세계적으로 자유롭고 폭 넓은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많다고 지적한 것도 이런 이유다.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 역시 중국 정부가 위안화의 글로벌 지위에 걸맞는 개혁을 동반하는 게 중요해졌다면서 SDR 바스켓 편입 후 어떻게 위안화를 관리하고 금융시스템을 개방할지에 대한 정비가 절실하다고 평했다.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