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에너지·환경·교육 3대분야 기능점검 착수'

[아시아경제 오종탁 기자]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5일 "올해 말 착수하는 에너지·환경·교육 등 3대 분야 기능점검을 통해 유사·중복업무와 민간경합을 해소하고 핵심기능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최 부총리는 이날 기재부가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최한 '공공기관 기관장 워크숍'에서 "공공기관의 기능조정을 강화하고, 성과중심 조직운영을 확산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그는 "성과중심 제도 개선은 노동개혁 입법 논의에 맞춰 외부 의견수렴 등 절차를 거친 후 세부적인 방안을 마련토록 하겠다"고 말했다.이어 "자율적·합리적 경영을 뒷받침하도록 경영평가제도를 합리적으로 개선하겠다. 경영공시는 누구나 알기 쉽게 살펴볼 수 있도록 투명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보완하겠다"고 덧붙였다.최 부총리는 작년부터 이어진 공공기관 개혁의 성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최 부총리는 "지난해 부채감축과 방만 경영 해소를 통해 변화의 토대를 마련했다. 올해는 정년 연장에 따른 청년고용절벽 해소를 위해 모든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임금피크제 도입을 차질없이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316개 공공기관 중 92%가 넘는 기관(291개)에서 임금피크제를 도입해 4300여명의 청년 일자리가 확보됐다는 구체적인 수치도 소개했다.또 사회간접자본(SOC), 농림·수산, 문화·예술 분야의 공공기관 기능을 조정하는가 하면, 국가직무능력표준(NCS)를 통한 능력 중심 채용을 확대해 능력 중심의 채용문화가 확산되는 기반을 마련했다며 "이런 노력이 국제 신용평가회사가 우리나라 국가신용도를 향상하는데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했다.한편 최 부총리는 "우리 경제는 하반기 들어 내수 중심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과 파리 테러 영향 등 대외적인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다"고 진단했다.그는 "대내외 불안 요인 극복과 본격적인 경기 회복을 위해서는 경제체질 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4대 부문 구조개혁이 가시적 성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국회, 정부, 노사 등 모두가 머리를 맞대고 힘을 모아야 할 때"라고 말했다.오종탁 기자 tak@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오종탁 기자 tak@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